베이비붐 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경제활동과 생활수준, 가족, 건강, 사회관계 등 어떻게 살고 있을까?
간단하게는 조사'연구 보고서를 통해 베이비붐 세대를 엿볼 수 있다. 보건복지부의 '베이비붐 세대 사회공헌활동 모델 개발'(2015년)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 취업자 산업분포에서 농림어업이 16.2%로 가장 많았다. 전체 인구의 농림어업 취업자 비중(6.2%)보다 훨씬 높았다.
또 운수업(9.2%)과 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9%)에 종사하는 베이비붐 세대 비율도 전체 인구(5.6%와 4.5%)에서의 비중보다 높았다.
베이비붐 세대의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적용률은 각각 64.2%와 64.7%로 앞선 세대(1947년 이전 출생)의 0.3%, 31.5%보다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 2차 베이비붐 세대(1968~1974년생)의 76.1%와 76%보다는 다소 낮았다. 자산은 금융자산(저축 등)과 실물자산(부동산 등)을 24.3%, 75.7% 비율로 보유했다. 자산 대비 부채 비중은 17.8%로 전체 평균(16.8%)보다 약간 높았다.
베이비붐 세대는 경제적 노후 준비 방법으로 가장 많은 40.9%가 국민연금을 꼽았다. 개인연금(17.7%)과 부동산(15.4%)이 뒤를 이었다. 노후 준비가 없다는 대답은 33%였다. 2차 베이비붐 세대가 국민연금(42.4%)과 개인연금(25.3%)으로 노후를 준비하는 것보다 낮은 비율이다.
또 다른 보고서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베이비붐 세대 실태분석'(2013년)을 보면 베이비붐 세대는 개인 차원의 노후 준비가 아직 체계적이지 않았다. 또 성년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고 있으면서 건강이 좋지 않은 부모 부양에 대한 부담을 느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부동산을 중심으로 한 실물자산 비중이 높아 자산의 유동성이 낮은 문제를 보였다. 경제적 이유로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하고 싶어 했다.
이 밖에 가사노동이 여성 중심으로 이뤄져 노후의 부부 관계 적응이 필요하고, 남자의 경우 사회관계가 직장 동료 중심이어서 은퇴 후 사회관계 축소가 불가피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현재 노인 세대보다는 건강하지만 예방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하고, 특히 치과의료 이용이 취약했다.






























댓글 많은 뉴스
몸싸움·욕설로 아수라장된 5·18묘지…장동혁 상의까지 붙들렸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