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7곳은 올해 노사관계가 지난해보다 더 나빠질 것으로 우려했다.
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236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2018년 노사관계 전망'을 조사한 결과, 기업의 72.8%가 "작년보다 불안해질 것"이라고 답했다.
'다소 불안'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52.1%, '훨씬 불안'이 20.7%로 나타났다.
최대 불안 요인으로는 '노사관계 현안을 둘러싼 법적 분쟁'(24.8%)이 꼽혔다. 예컨대 '휴일근로 중복 할증'을 둘러싼 노사 소송은 현재 대법원에 22건 계류돼있다.
이어 '노동계 기대심리·투쟁 증가'(19.0%), '정부의 노동권 보호 강화 정책 추진'(17.8%) 등도 거론됐다.
올해 노사관계가 특히 불안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로는 '협력업체 및 사내도급'(31.6%)이 지목됐다. 대기업에 대한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 등이 늘어나는 추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금속(13.7%)도 노사관계가 불안한 분야 2위로 꼽혔다.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가 올해 사업계획에서 "주요 사업장의 구조조정 저지 투쟁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응답 기업의 65.9%는 올해 임단협 교섭 기간을 '3개월 이상'으로 전망했다. 임단협 최대 쟁점으로는 '임금 인상'(35.8%), '근로시간 단축과 인력 충원'(18.4%), '복리후생제도 확충'(11.9%), '임금체계 개편'(10.5%) 등이 예상됐다.
기업들은 우리나라 단체교섭 관행 중 가장 시급하게 개선할 부분이 '노동계의 경영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과도한 요구'라고 응답했다.
올해 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정부가 해결해야 할 최우선 정책과제로는 '근로시간단축 부담 완화', '최저임금 제도 개선'(산입범위 확대 등), '임금체계의 합리적 개편' 등을 제시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