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지역 대표적 '자수성가' 인생들을 소개합니다. '경상북도 최고장인'입니다. 우리 지역 기술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높인 칭호입니다. 이들이 최고장인에 오르기까지 수많은 기회와 시련이 있었습니다. 이들 삶의 터닝포인트, 삶을 바꾼 그 순간에 주목합니다. 격주로 연재합니다.
"화훼디자인 장인 권미숙입니다. 우리 나이로 54세입니다. 48세에 최고장인 칭호를 받았어요. 지금은 영주에서 꽃가게를 운영하고 있죠. 제 인생의 터닝포인트는 곳곳에 있지만 하나를 꼽으라면 단연 1988년 12월 5일을 꼽습니다. 제 이름의 꽃꽂이교실을 연 날이죠."
권 씨는 꽃꽂이교실을 열기 전까지 금융회사에서 일했다. 실업계 고교를 졸업하고 친구들이 대학에 다닐 때 그녀는 직장으로 출근했다. 대우가 나쁘진 않았다. 그러다 문득 20년 뒤 자신의 모습을 그려봤다. 청사진만은 아니었다. 대한민국은 학벌 중심 사회였다. 자기 손으로 할 수 있는 기술을 익혀야겠다는 마음을 먹었다.
꽃꽂이는 1980년대 초반 상류층 부인들이 즐기던 고급 취미였다. 하지만 우리 경제가 윤택해지면 대중화될 것이라 생각했다. 미적인 부분과 심리적인 부분을 사람들이 찾을 것이라는 판단이었다. 당시 그녀의 한 달 급여는 10만 원선. 매달 2만~3만 원이 꽃꽂이 배우는 데 들었다. 투자라고 생각했다.
꽃꽂이를 가르치겠다는 명확한 목표가 서자 5년 동안의 갈고닦음은 길게 느껴지지 않았다. 1988년, 5년간 모은 급여와 퇴직금을 털었다. 친구들이 대학을 졸업할 즈음 그녀는 꽃꽂이 학원을 열었다.
형편이 어려워 대학에 못 갔던 권 씨. 주변 환경을 원망하고 주저앉기 전에 자신이 할 수 있는 앞날을 그렸다. 동생들이 많아 선택했던 실업계 고교와 직장생활은 50대 중반에 돌이켜 보면 감사하고 또 감사하다.
"화훼디자인을 잘하고 싶다면 식물에 관심을 가지는 게 첫걸음이죠. 자연을 아름답게 볼 수 있는 심미안이 생겨날 겁니다. 본인에게 맞는 게 뭘까, 무얼 하면 즐거울까 고민하면서 행복감을 느낀다면 길이 나올 겁니다."






























댓글 많은 뉴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