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제천 복합스파건물 화재사고를 계기로 대구시가 지역 내 20만여 개 건물의 드라이비트 공법 및 필로티 구조 적용 여부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인다. 사고 당시 피해를 키운 주원인으로 두 공법이 지목받았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국토교통부 지침에 따라 3일 8개 구'군청에 역내 건물들의 드라이비트 공법'필로티 구조 적용 여부를 파악할 것을 요청했다. 1차 보고 대상은 대구시내 30층 미만 근린생활시설과 공동주택 등 6만1천320여 개 동이다. 30층 이상 고층건물은 대부분 비가연성 외장재를 사용하는 데다 정기적 소방점검을 받고 있어 이번 조사에서 빠졌다.
2월 말까지 이뤄질 1차 조사를 통해 아파트와 주요 복합상업시설 등 대형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시설에 대해 우선 파악하기로 했다. 이어지는 2차 조사에서는 소규모 다세대주택과 단독주택 등 나머지 14만여 개 건물도 추가로 파악하는 등 최종적으로 대구에 있는 20만여 개 건물 전부를 조사해 데이터베이스화한다는 복안이다.
건물 외벽에 스티로폼 등 가연성 외장재를 붙인 뒤 시멘트로 마감하는 드라이비트 공법과 1층을 주차장 용도로 개방해두는 필로티 구조는 화재에 극히 취약하다. 충북 제천 화재와 2015년 130명의 사상자를 낸 의정부 아파트 화재 등 대규모 화재의 주범으로 지목받아왔다. 정부는 지난 2015년 의정부 화재를 계기로 기존 30층 이상 건물에 사용을 금지하던 가연성 외장재를 6층 이상 건물에도 사용할 수 없도록 법을 개정했지만 이전에 지어진 건축물은 규제할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대구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 건물별 맞춤형 안전점검이 가능해지고 화재 진압 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대구소방안전본부는 지난달 22일부터 8일간 지역 대형 복합스파건물(5층 이상, 연면적 4천㎡ 이상) 22곳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9개 업소에서 14건의 불량 사항을 적발했다고 4일 밝혔다. 업소 10곳 중 무려 4곳이 안전관리를 제대로 해 오지 않은 셈이다.
주요 불량 사항은 ▷비상구에 장애물 비치 ▷발코니 임의 증축 ▷유도표시등 미설치 ▷긴급대피설비 미설치 ▷소방안전관리자 현황표 미부착 등이었다. 소방안전본부는 이달부터 중'소규모 복합스파건물 80곳을 시작으로 407곳의 일반 목욕탕 및 헬스장 등도 전수점검을 벌여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