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17 삶의 질(How's life)' 보고서에서 OECD 회원국 및 비회원국 41개국의 미래 생활의 질(future well-being) 위험 요소 30개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하위권을 뜻하는 3등급을 받았다.
특히 한국의 가구당 순가처분소득 대비 부채 비율은 2015년 기준 170%로, OECD 회원국 및 비회원국 33개국 가운데 10번째로 높았다. 이는 OECD 30개국 평균인 123%를 웃돌며, 주요 선진국인 미국(112%)과 일본(135%)보다 높은 수치다. 가계부채는 한 가구의 주택담보대출과 신용카드 대금, 자동차 구매자금대출, 학자금대출 등을 합친 것이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해마다 상승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한국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8년 143%에서 2015년 170%로 27%포인트 상승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