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이 100조원 가까이 불어나 86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전체 아파트 시가총액도 새 아파트 입주 등의 영향으로 2천300조원을 돌파했다.
11일 부동산114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은 약 867조602억원으로 2016년(767조2천597억원) 대비 99조8천5억원(13.0%) 증가했다.
역대급 규제로 평가된 새 정부의 8·2부동산 대책 등 강도높은 규제에도 강남권 재건축은 물론 서울 도심 등 요지의 일반 아파트값까지 일제히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강남구의 아파트 시가총액이 2016년(123조1천406억원) 대비 13% 늘어난 139조5천937억원으로 서울에서 가장 높았다. 압구정 현대·개포 주공 등 재건축 추진 단지 등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압구정 현대 아파트 전용면적 84㎡형의 경우 지난해 실거래가가 20억원을 넘어섰다.
역시 잠실 주공5단지 등 대규모 재건축 단지들이 강세를 보인 송파구는 강남구에 이어 두번째로 시가총액 100조원대 시대를 열었다. 작년 말 기준 시가총액이 102조4천99억원으로 2016년(84조617억원) 대비 21.8% 늘었다.
서초구의 시가총액은 2016년 대비 12.2% 증가한 98조3천836억원으로 100조원에 근접했다.
강남권 4개 구의 재건축 아파트 시가총액은 총 139조5천90억원으로 2016년 대비 10.3% 증가했다.
시가총액의 상승폭은 도심권 아파트가 더 컸다. 종로구의 경우 2006년 4조7천756억원이던 시가총액이 지난해 7조902억원으로 48.5%나 늘었다.
지난해 2월 2천533가구에 이르는 교남동 '경희궁 자이' 입주 영향으로 시가총액이 급증했다. 이 아파트 전용면적 85㎡는 현재 시세가 13억원에 달하는 등 도심권의 고가 아파트로 부상했다.
중구의 아파트 시가총액(8조6천553억원)은 2016년 대비 20.1% 늘었고, 성수전략정비구역 등 개발 호재가 있는 성동구(36조7천126억원)도 아파트값 상승에 힘입어 시가총액이 19.3% 증가했다.
전국의 시가총액은 전년 대비 9.2% 증가한 2천365조6천587억원을 기록했다.
대구시의 시가총액이 123조6천872억원으로 전년 대비 7.0% 증가했고 부산은 173조5천678억원으로 5.5% 늘었다.
또 경기도의 시가총액은 660조9천237억원으로 1년 만에 7.6% 증가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