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전설적인 지휘자 므라빈스키에게는 연주 때마다 들고 다니는 비밀 상자가 있었다. 그가 죽기 전까지 그 비밀 상자 속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아무도 알지 못했다. 그가 죽고 난 이후, 그 비밀 상자가 열렸다. 그 속에는 작은 노트가 있었다.
"가장 왼쪽에는 1바이올린, 그다음엔 첼로, 그 뒤에는 콘트라베이스, 그리고 그 옆으로는 목관, 금관…. 그 뒤에는 타악기, 오른편엔…."
가장 기본적인 것보다 더 기본적인, 지휘자가 숙지할 사항들에 대한 메모였다.
새해가 되면 사람들은 목표를 세우고는 한다. 왜 1월은 우리에게 목표를 갖게 하는 걸까? 새로운 시간을 맞는다는 의미를 주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어제보다는 더 나은 삶을 살고 싶다는 인간의 본능이 담겨 있다. 어떤 면에서는 반성도 있을 것이고, 뜻을 이루지 못한 나를 향한 후회일 수도 있다. 필자는 이것을 각자의 이유가 그 나름의 선택을 거쳐 내린 선언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내 삶을 위한 선택이라면 한 가지를 첨언하고 싶다. 거창한 포부를 담아 세상에 천명하기보다는 작은 것부터 시작해 하나씩 쌓아 올라갈 줄 아는 미덕이 필요하다. 타인의 시선을 신경 쓴 나머지, 연초에 세운 계획도 힘을 잃고 금방 수명을 다할 수가 있다.
조금이라도 실패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많은 것을 단기간에 이루려 하지 말고 천천히 걸어갈 줄 아는 인내가 중요하다는 기본, 겉으로 보기에는 소소할지라도 묵묵히 지키다 보면 진실되리라는 믿음을 갖는 것이 곧 꿈을 이룬다는 신념, 어쩌면 새해는 계획보다 우리에게 용기를 가지라는 주문일지도 모른다.
"무대는 장난이 아닌 공간, 허세 떨 만한 여유가 없는 공간, 당신이 얼마나 대단한 재능의 소유자인지 증명할 기회조차 없을지 모른다."
"오직 정신과 태도만이 존재할 수 있는 장소이며, 거짓말은 무대 밖에서나 통하지, 쳇! 비웃음당하기 딱 좋은 곳이다."
"그럼 여기에 제대로 서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내 개인적인 답은, 욕심을 버리고 그저 순전한 초심으로 돌아가고 기본으로 돌아가서 가장 순수한 예술 그 자체와 만남을 갖는 것이다."
"이곳은 무대다."
눈에 보이는 것보다 내면에 잠들어 있는 어떠한 것과 만나는 행위가 인간을 보다 아름답게 만들어 주지 않을까? 러시아의 한 지휘자가 남긴 노트는 이 점을 알려주는 듯하다. 새로운 지점으로 나아가려고 이미 있는 것(기본)을 되새기고 반복해서 성숙해진다는 의미를, 단순함에 성실을 더해 정교함으로 발전하는 방법을.
그가 보물처럼 여겼던 수첩은 닳고 닳은 종이에 불과하지만, 그 안에 담은 글귀는 진실하기에 내일을 맞는 우리에게 소중하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