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져(뇌출혈) 혈액이 뇌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질환이 뇌졸중이다.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이란 뇌졸중 증상이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완전히 회복되는 것을 말한다.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은 뇌경색이 발생할 경고 사인이라고 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진료 인원은 여성(56.4%)이 남성(43.6%)에 비해 많았다. 연령별로는 60, 70대 진료 인원이 전체의 54%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일수록 그만큼 더 주의해야 한다는 의미다.
발생 원인은 조절할 수 있는 것과 불가능한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절할 수 없는 원인으로는 나이, 인종, 유전적 요인을 들 수 있다.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의 심장질환, 비만, 고지혈증, 흡연, 과음, 운동 부족, 수면무호흡증, 경동맥 협착 등은 조절 가능한 원인이다. 이 증상으로 인해 한쪽 눈 시각의 일시적 상실, 편마비, 구음 장애, 어지럼증, 언어 장애, 기억력과 인지기능 장애, 두통, 복시, 감각 이상, 삼킴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발생 후 10~20% 환자에게서 90일 이내에 뇌경색이 발생했고, 이 가운데 50%가 48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경색 증상이 발생하면 최대한 빨리 혈전용해술, 혈관확장술, 혈전제거술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이상 증상이 있으면 바로 병원을 방문해 검사와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뇌혈관의 건강을 위해서는 평소 위험 요인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규칙적인 혈압'혈당 측정과 관리, 금연과 절주가 중요하다. 동물성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적은 음식을 싱겁게 먹는 식사 습관을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
또 적어도 일주일에 4일은 하루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게 좋다. 전문적 진료와 상담으로 현재 뇌혈관 건강의 위험 요인은 없는지 확인하고 건강관리 방법을 챙겨둘 필요가 있다.
도움말 국민건강보험공단 대구본부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