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주거지 등 쇠락 지역을 활동적인 지역으로 탈바꿈시키려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노후 주거지의 건물들을 철거해 아파트를 짓는 기존의 재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및 주민 경제적 자활을 지향하고 있어 의미가 깊다. 특히나 대구경북의 경우 모두 9곳이 첫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돼 지역별로 특화된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기대가 크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향후 5년간 총 50조원이 정부 펀드 형태로 투입돼 전국 500곳에서 추진되는 초대형 프로젝트로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 시범사업 대상지역 68곳을 선정했는데, 여기에 대구 동구·북구·서구와 경북 경산·상주·영양·영주·영천·포항 등 총 9곳이 포함됐다. 시·도별 인구를 감안할 때 대구경북에서 많이 포함된 셈인데 해당 지자체들이 의욕을 갖고 계획을 잘 수립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사업명을 보더라도 '자연을 담고 마음을 나누는 침산에 반하다'(대구 북구), '소소한 이야기 소목골'(동구), '사람, 별, 말이 어울리는 영천대말'(영천), '역전마을 르네상스'(경산), '경상도의 근원을 찾아가는 뿌리샘'(상주) 등 지역적 특성과 유사성,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정부는 시범사업 대상지역 가운데 유망한 곳을 선도지역으로 지정할 계획인데, 일단은 지역에서 선도지역이 많이 나오는 것이 중요하다. 선도지역 지정을 통한 선점 효과 및 정부 지원 극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대구경북 지자체들은 계획을 더 세련되게 다듬고 실현성 높은 아이디어를 추가해야 할 것이다.
도심재생 사업과 관련해 우려가 없는 것도 아니다. 장기적 안목의 추진이 사업 성공에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현실은 정부 주도의 단기 성과내기 및 지원 형식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지자체도 여기에 보조를 맞추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더구나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낙후지역의 경제적 자립과 부흥이 전제되지 않을 경우 일회성 개발사업으로 전락하기 십상이다. 이름만 바꾼 또 다른 난개발 사례가 되지 않도록 정부와 지자체는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