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수사가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이 전 대통령 재임 기간 국가정보원 자금이 청와대로 흘러간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은 22일 이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83) 전 의원의 사무실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이 전 대통령 측근 인사를 상대로 했던 검찰의 수사가 이제는 이 전 대통령의 친족·가족으로까지 뻗어나가는 모양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송경호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국정원 자금의 불법수수 의혹과 관련해 이상득 전 의원의 성북구 성북동 자택과 여의도 사무실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각종 문서와 장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앞선 국정원 관계자들과 이 전 대통령 측근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국정원이 이 전 의원 측에 억대의 특수활동비를 직접 건넨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전 의원의 오랜 측근이었던 김주성(71)씨가 2008∼2010년 국정원 안살림을 총괄하는 핵심 보직인 기획조정실장을 지낸 점을 주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실장은 이 전 의원이 대표이사를 지냈던 코오롱그룹에서 35년간 근무한 대표적인 '이상득 라인'으로, 정보 관련 경력이 전혀 없어 기조실장 발탁 당시 파격적인 인사라는 세간의 평가를 받았다.
김 전 실장은 2008년 이 전 대통령 측근인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에게 특활비를 건네는 데 관여한 인물이기도 하다.
검찰은 김 전 실장이 2008년 이 전 대통령과 독대한 자리에서 국정원의 특활비 전달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취지의 보고를 한 적이 있다는 관련자 진술을 확보하기도 했다.
검찰은 건네진 국정원 특활비가 이 전 의원의 정치활동 자금으로 사용됐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관련 압수물 분석 작업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대통령의 친형인 이 전 의원은 이명박 정권 당시 최고 실세이자 '상왕'으로까지 불릴 정도의 막강한 힘을 과시해왔다.
그러나 이 전 대통령 재임 당시 저축은행 비리로 수사받아 이후 수감 생활을 한 데 이어 포스코 뇌물 혐의로 재판에 넘겨지는 등 각종 의혹으로 수사를 받았다.
그는 포스코의 민원을 해결해주는 대가로 20억원대 뇌물을 챙긴 혐의로 2015년 10월 불구속 기소돼 1·2심에서 징역 1년 3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상고심을 진행하고 있다. 법원은 다만 고령인 이 전 의원의 건강 상태를 고려해 법정 구속은 하지 않았다. 2012년에도 저축은행으로부터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기소 돼 2014년 6월 대법원에서 징역 1년 2개월형을 확정받기도 했다.
앞서 검찰은 지난 12일 이 전 대통령 측근인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 자택등을 압수수색한 후 MB정부 청와대 핵심 인사들이 국정원 자금을 불법으로 수수한 의혹 수사를 본격화하고 있다. 특히 이 전 대통령 측근이었던 김희중(50)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이 국정원 자금 수수 관련 의혹을 푸는 '키맨' 역할을 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