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달성습지에 잇단 공사 말썽…실수가 아니라 환경의식 미비 탓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시가 달성습지에서 탐방나루 조성 공사를 하면서 환경영향평가를 받지 않았다가 환경부 제재를 받았다니 기가 막힌다. 대구시 자신이 발주한 공사라고 마음대로 해도 괜찮다는 생각을 가졌는지 모르지만, 대구환경청으로부터 '적법하지 않다'며 공사중지명령까지 받았다는 점에서 낯 뜨거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얼마 전, 같은 장소에서 멸종위기종인 맹꽁이 산란지를 모래로 덮는 추태를 저질러놓고, 또다시 이런 일을 벌였으니 뭔가 '나사'가 빠져도 단단히 빠졌음을 보여준다.

대구시건설본부가 2015년부터 달성습지에 탐방로와 수로형 습지, 생태박물관 등을 만들고 있는데, 이번에 말썽이 된 것은 수로형 습지다. 당초 설계를 변경해 수로 예정지의 위치를 하류로 바꾸면서 환경영향평가를 건너뛴 채 공사를 진행했다고 하니 황당하기 짝이 없다.

향후 수개월간 공사 중단으로 관람객의 불편을 초래한 것도 잘못이지만, 당연히 환경영향평가 대상인 줄 알면서도 은근슬쩍 넘어가려고 한 점이 더 큰 잘못이다. 그러면서 대구시의 해명이 처음 설계했을 때보다 환경훼손 위험이 적어 절차를 생략했다고 하니 옹색하다. 공무원이 공사 과정을 법보다는 자의적으로 판단하고 해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환경청에 적발되지 않았더라면 아무 일도 없다는 듯 그냥 넘어갔을지 모른다.

지난해 말 달성습지의 맹꽁이 산란지를 모래로 덮었다가 비판 여론이 일자, 원상복구하는 일을 저지른 것은 단순한 실수가 아니다. 환경 의식이 미비한 탓이다. 환경관련 공사를 과거처럼 도로 만들고 집 짓는 토목건축 공사의 연장선쯤으로 여기다 보니 반복적 구조적으로 저지르는 잘못이다.

행정기관이 환경관련 공사를 한다면서 환경을 파괴하는 행위를 흔하게 벌인다. 이번에 달성습지에서도 비슷한 일이 잇따라 벌어지는 만큼 대구시 차원에서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환경공사 발주처를 건설본부가 아니라 소관 부서로 바꾸는 것을 검토하고, 환경 전문가의 조언과 지도를 바탕으로 세심하게 공사를 진행토록 해야 한다. 환경은 한 번 파괴하면 다시 되돌릴 수 없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