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칩, 바이오센서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강력한 인공분자 접착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포스텍 화학과 김기문(53) 교수·고영호(41) 연구조교수팀은 23일 지금까지 발견된 인공수용체와 리간드 복합체 중 가장 결합력이 큰 복합체를 개발해 학계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세계적 학술지 미국학술원 회보(PNAS) 온라인판을 통해 공개된 이 분자 복합체는 기존에 사용되던 생물질 복합체보다 합성 및 화학적 변형이 쉽고, 온도 등 다양한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DNA칩 등을 제작할 때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복합체는 김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합성해 국제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인공 수용체 쿠커비투릴과 페로센 유도체를 결합시킨 것이다.
김 교수팀은 이 정도의 결합력은 자연물질 중에서 가장 강한 상호작용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아비딘-비오틴 복합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팀이 이번에 발표한 이 복합체는 합성과 화학적 변형이 쉬워 DNA 칩 등 바이오 진단칩은 물론 바이오센서, 면역실험이나 항원 정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msnet.co.kr
◇아비딘-비오틴 복합체란 = 아비딘은 단백질의 일종으로 계란 흰자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고 비오틴은 비타민 H 또는 B7으로, 두 분자의 복합체는 자연물질의 복합체 중 가장 높은 결합상수(결합상수가 높을수록 결합력이 강함)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