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아이디어가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1934년 어느 날, 영국의 출판업자 알렌 레인(1902~1970)은 세계적인 추리작가 애거사 크리스티를 방문하기 위해 기차를 타려고 했다. 역에서 뭔가 읽을 것이 없을까 두리번거리다 어른 손바닥만 한 크기의 '문고판' 책을 떠올리게 됐다.
출판사에서 이사들과 다투다 쫓겨나자, 그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겼다. 책 이름도 쉽게 부를 수 있도록 펭귄이라 지었다. 1935년 오늘, 하얀색 종이 표지의 자그마한 책을 6펜스의 저가에 내놓았지만 별로 팔리지 않았다. 서점보다는 잡화점 체인에서 파는 마케팅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대박이 났다. 첫 펭귄 시리즈는 애거사 크리스티,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모음집이었다.
펭귄북스는 지금까지 고전부터 심심풀이 땅콩용 책까지 2천500종 이상을 출간해 문고판의 대명사가 됐다. 휴대가 간편해 기차'버스간, 화장실, 전쟁터에서도 책을 읽게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독서 열풍을 불러왔다. "처음에는 모험이라고 모두 말렸다. 대중성과 교양서의 균형을 꾸준히 유지한 것이 성공의 비결"이라고 했다. 대박의 조건은 아이디어와 용기가 아니겠는가.
박병선(편집부국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