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기능 개선 약용작물로 알려진 '밀크씨슬'(Milk thistle)의 대단지 재배 등 국산화 사업에 한약진흥재단(원장 신흥묵'경산시 갑제동)이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한약진흥재단은 재단이 제출한 '밀크씨슬의 국산화 및 산업화' 과제가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역농산업육성사업에 이달 중순 최종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과제에는 한약진흥재단을 비롯해 해남군 농업기술센터, 진도군 농업기술센터, ㈜새롬이 공동연구를 맡게 되며, 국비 등 5년간 28억여원의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이들은 ▷밀크씨슬의 고소득 재배기술 개발 및 기계화 수확 ▷채종(씨추출) 시스템 개발 ▷종자유를 활용한 각종 제품개발 ▷해남군, 진도군 일원에 660만㎡가량의 밀크씨슬 재배단지 조성 계획을 추진할 예정이다.
밀크씨슬은 지중해 지역 및 북아메리카, 중앙아시아 등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이다. 국내에서는 흰무늬 엉겅퀴, 우유 엉겅퀴로 알려졌으며, 그 씨에서 추출한 '실리마린' 성분은 간질환, 독성간질환을 치료하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밀크씨슬에 대한 건강기능식품 고시형 원료지정에 따라 꾸준한 수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제품에 사용되는 밀크씨슬 원료는 대부분이 미국, 유럽 등 원산지 재배물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한약진흥재단은 지난해 10월 농림축산식품부 기획과제를 통해 밀크씨슬의 국내산 재배가능성과 경제성을 분석한 바 있다. 특히 밀크씨슬은 5월 파종해 8월에 수확할 수 있는데 진도군, 해남군의 주요 작물인 가을배추나 대파의 간작물(間作物)로 활용이 가능하다. 마른 땅이나 간척지 내에서도 재배할 수 있어 고소득 작물로 기대된다.
한약진흥재단 조정희 본부장은 "'카르두스마리아누스'로도 널리 알려진 밀크씨슬은 간 기능 개선에 탁월한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규모 재배단지 조성을 통한 농가 고소득 창출에 이바지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민주 "전날 협상한 국힘과의 '3대 특검안' 최종 결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