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9일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와 관련해 "여야 정치권이 논의해 국정 혼란과 공백을 최소화하고 안정되게 정권을 이양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 주면 그 일정과 법 절차에 따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혀 사실상 임기 중 사퇴입장을 처음 밝혔다.
하지만 "제 대통령직 임기단축을 포함한 진퇴문제를 국회의 결정에 맡기겠다"고 해 탄핵 진행 여부, 임기단축을 위한 원포인트 개헌 등 박 대통령의 퇴진 방식과 일정을 둘러싼 정치권의 격론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춘추관에서 가진 '3차 대국민 담화'를 통해 "저는 이제 모든 것을 내려놓았다. 하루속히 대한민국이 혼란에서 벗어나 본래의 궤도로 돌아가기를 바라는 마음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저는 국내외 여건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나라와 국민을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 길인지 숱한 밤을 지새우며 고민하고 또 고민했다"고도 했다.
박 대통령은 정치권이 마련한 일정에 따른 사퇴입장을 밝히면서도 '최순실 사태'와 관련해서는 자신의 결백함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K스포츠'미르재단, 청와대 내부문서 유출 등 각종 의혹과 관련, "단 한순간도 저의 사익을 추구하지 않았고, 사심도 품지 않고 살아왔다. 지금 벌어진 여러 문제들 역시 국가를 위한 공적인 사업이라 믿고 추진했던 일들이었고, 그 과정에서 어떠한 개인적 이익도 취하지 않았다"고 밝혀 검찰이 밝힌 '최 씨 등과의 공범관계'를 전면 부정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주변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것은 결국 저의 큰 잘못"이라며 최 씨와 청와대 참모 등 주변관리를 잘못한 점은 인정했다.
박 대통령은 또 "이번 사건에 대한 경위는 가까운 시일 안에 소상히 말씀드리겠다"고 해 조만간 기자회견 등을 통해 '최순실 사태'에 대한 경위와 입장을 밝힐 것을 예고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야권은 이번 담화에 대해 "탄핵을 모면하고, 야권을 분열시켜 국면전환을 꾀해보려는 술수"라고 규정, 혼란스러운 정국이 당장 수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신규 원전 건설? 실현 가능성 없어" 李대통령 '100일 기자회견' 어떤 얘기 오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