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최대 숙원사업인 통합 대구공항 이전사업이 19일 운명의 갈림길에 맞닿았다.
이날 열리는 4개 지방자치단체장의 손에 의해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될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험난한 가시밭길을 걸을지 결정되기 때문이다. 대구경북민들은 지역의 손으로 결정할 수 있는 호기를 지자체장의 이해관계 때문에 무산돼선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방선거를 의식해 통합 대구공항 이전이라는 큰 판을 깨트리지 말라'는 엄중한 경고이다.
대구시'경상북도'군위군'의성군 등 4개 지자체장은 19일 오후 3시 대구시청에서 간담회를 열고 통합 대구공항 이전 후보지를 선정할 전문가위원회 구성 등에 대해 논의한다. 국방부가 지난해 12월 15일 이전 후보지 선정을 4개 지자체 합의에 맡기겠다고 '깜짝 제안'한 이후 세 번째 만남으로, 이날 통 큰 합의안이 도출될지에 지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상황은 만만치가 않다. 의성군이 지난 15일 4개 지자체 실무위 불참을 전격 선언하면서 이번 주엔 단 한 차례도 실무위가 열리지 못했다. 게다가 전문가위원회의 역할과 권한 위임 정도, 추진 일정 등을 두고 이견 차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아 합의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전문가위원회에서 평가항목'배점기준'여론조사 방법 등을 정해 후보지를 결정하자는 주장과, 객관성과 공정성을 위해 평가항목'배점기준'여론조사 방법 등을 전문용역기관에 의뢰하고 전문가위원회는 그 결과에 따라 평가만 해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추진일정에 대해서도 '2월 말까지 후보지 선정을 마무리해 조속히 국방부에 통보하자' '주민과 충분한 소통의 시간을 확보한 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엇갈리고 있다.
이에 대해 지역민과 전문가들은 4개 지자체장이 자신을 내려놓고 오로지 대구경북의 미래만 바라보며 얽히고설킨 실타래를 풀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최백영 통합신공항 대구시민추진단 공동대표는 "중앙정부가 지역에 준 권한을 우리 스스로 날리는 것은 정말 어리석은 짓이다. 단체장들이 사사로운 정치적 셈법 등에 휘말리지 말고 오로지 대구경북의 미래만 생각하고 통 큰 결단을 내리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한 공항전문가는 "통합 대구공항 이전사업은 현행법에 따른 절차에 의해 어떻게든 진행이 된다. 문제는 그 시기를 우리가 얼마나 앞당기느냐가 관건"이라며 "김해신공항, 무안국제공항 등과의 노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이번 기회를 활용해 반드시 조기 건설로 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진성준 제명 국회청원 등장…대주주 양도세 기준 하향 반대 청원은 벌써 국회행
농식품장관 "쌀·소고기 추가 개방 없어…발표한 내용 그대로"
김건희특검, 尹 체포영장 집행 무산…"완강 거부"
조경태 "당 대표 되면 李대통령과 산업부 대구 이전 본격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