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부진으로 빈사 상태인 지역 건설업체의 숨통이 앞으로 다소나마 트일 전망이다. 대구시가 지역 건설업체 경쟁력 강화 대책으로 지역 업체가 참여하는 재건축·재개발사업에 더 많은 혜택을 주기로 결정한 때문이다. 이는 대형 건설업체의 무차별적인 수주 공세에 밀려 본바닥에서도 맥을 못 추고 있는 지역 업체에는 가뭄에 단비와 같은 반가운 소식이다.
그동안 재건축 등 사업의 경우 최대 15%의 용적률 인센티브를 받았다. 앞으로는 지역 업체 참여율이 50%를 넘으면 20%까지 인센티브가 더 높아진다. 또 지역 건설사와 설계업체가 함께 사업을 벌이면 추가로 3%를 더 받는다. 이런 파격적인 혜택은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역 업체의 수주 경쟁에 청신호가 켜진 셈이다.
시가 지역 업체에 더 많은 혜택을 주기로 한 것은 그만큼 지역 건설업 상황이 좋지 않다는 소리다. 경쟁 논리나 시장 흐름에만 맡겨놓기에는 불균형이 더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만약 이런 약육강식의 생태계가 굳어진다면 지역 업체의 고사나 지역 경제 타격은 불을 보듯 뻔하다. 대형 메이저 건설기업과 비교해 외형이나 자금력, 마케팅 등 모든 면에서 애초 상대가 되지 않아서다.
지역 업체들의 시공 품질과 서비스가 아무리 뛰어나다 해도 수주 문턱을 넘지 못하면 이런 강점을 발휘할 수 없다. 올해 상반기 전국 건설사 도급 순위에서 화성산업서한 등 지역 대표기업들이 모두 40위권 밖으로 뒷걸음질한 이유다.
특정 업체의 시장 독식은 지역 경제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역 자본의 역외 유출 또한 걱정거리다. 지방정부가 이런 상황을 외면하거나 시장 불균형을 계속 방치할 수 없는 배경이다. 물론 지역 건설업계가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 마냥 인센티브에만 기댄다면 지역 건설업의 미래는 어둡다. 시장을 심각하게 왜곡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역 업체를 돕는 것은 바른 결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