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버스조합이 버스 요금 조정을 위해 결연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인하된 승차권 구입 때 적용받는 할인 요금을 지난해 2월 수준으로 환원(인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지난해 버스 운영 비리 사태 이후 여론의 눈치를 살피던 조합이 최근 기자들과 접촉, 대현교통 부도사태와 인건비 상승 등에 따른 업계의 경영난을 내세우면서 우호적인 여론 조성에 온힘을 기울이고 있다.
시민단체들의 반발에도 맞대응하겠다는 듯, 조합 관계자는 "요금 조정 때마다 시민단체의 의견에 끌려 왔는데 더 이상 그럴 수는 없다"고 단호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조합은 여론조사기관에 의뢰, 지난 3일부터 시민 1천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에 들어갔다. 요금 조정과 시내버스 서비스 수준 등에 대해 시민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여론을 수렴해보겠다는 뜻이다. 또 조만간 승객을 대상으로 버스업계의 경영난을 알리고 요금 조정의 당위성을 적극 홍보할 움익임도 보이고 있다.
조합이 시내버스 서비스 개선을 목적으로 시민들의 여론을 직접 들어보겠다고 할 정도로 경영 의식이 바뀐 점에 대해서는 박수를 보낼만 하다. 그러나 요금 인상을 노린 행동이라면 얘기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버스 비리 사태로 조합과 대구시 관계자가 사법처리까지 받은 것도 불과 얼마 전이다. 비리 사태 이후 조합과 시민단체는 수익금과 운송 원가를 분석해 객관적 요금 산출기준을 마련키로 했는데 그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조합이 요금 조정 문제를 거론하는데 대해 얼마나 많은 시민들은 과연 공감할 것인지.
버스업계가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겠지만 버스 운송 수익금과 원가 조사 결과가 나올 오는 연말까지는 기다렸다가 요금을 조정하는 것이 시민들의 신뢰를 얻는 지름길이 아닐까.
김교영(사회1부)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