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제2창당을 위해 마련한 '특대위'가 삐걱이고 있다. 중립성에 대한 우려감이 제기되고 있으며 쇄신파 의원들의 견제도 감지되고 있다. 게다가 "당 주류와 가까운 중도개혁포럼이 특대위를 주도해서는 안된다"는 얘기마저 공공연하게 나돌아 당 지도부를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당내 개혁파와 특대위간의 주도권 경쟁이 시작됐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23일 민주당에서는 특대위와 초선 개혁모임인 '새벽21'이 '당 발전.쇄신'이라는 같은 주제로 서로 다른 별도의 토론회를 여는 기현상이 빚어졌다. 특대위의 운영방향이 정치일정 및 당 쇄신에 대한 논의창구 단일화였다면 개혁파 의원들의 토론회는 특대위의 권한을 정면 반박하는 성격이었다.
특히 '새벽21' 토론회에서 이재정 의원은 "대통령이 총재직을 사퇴하는 정치적 선언을 했으나 당은 정치적 선언은커녕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비난, 특대위를 겨냥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장성민 의원도 "현재 민주당은 비개혁적 현상유지 세력과 개혁지향적 현상타파 세력이라는 두 부류로 세력화됐다"고 주장, 파문이 일었다.
특대위에 대한 견제발언은 이날 당무회의에서도 나왔다. '쇄신연대'측 신기남 의원은 "특대위의 논의가 공개되고 투명해졌으면 좋겠다. 당내에서 정치일정에 대한 여러 의견이 나오는 것은 특대위에 대한 기대 때문"이라며 "특대위가 전당대회 시기를 빨리 정해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정동영 상임고문도 "민주정당으로 쇄신하기 위해선 한 목소리가 중요한 게 아니라 다양한 목소리가 백가쟁명식으로 표출되고 그 안에서 질서를 잡아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대위가 모든 것을 움켜쥐려 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사람의 모두 특대위 권한을 반박한 셈이다.
나아가 쇄신파 모임인 '쇄신연대'는 오는 28일 2차 모임을 갖고 당내 세력화에 본격 나서기로 해 특대위에 대한 견제가 노골화될 전망이다. 쇄신연대의 김원기 고문은 "당이 처한 위기를 일신하는 계기로 만들기 위해 정치개혁의 모든 문제를 광범하고 지속적으로 토론.연구하는 모임"이라며 주장했다.
쇄신연대측 한 관계자는 "일단 특대위의 활동을 존중하겠지만 특정세력이 주도하거나 쇄신을 무력화하려는 시도는 차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