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대구 유치
에 성공할 경우 삼성전자가 후원 기업으
로 나서기로 했다고 한다. 대회 성공에 꼭
필요한 스폰서가 미리 확보된다면 유치
활동은 한층 힘을 받게 될 것이다. 삼성은
이미 올림픽 등 국제 유명 스포츠 행사를
후원한 경험이 있어 대구 세계육상대회의
스폰서로 손색이 없을 것이다.
모처럼 들려 온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유치 관련 소식이 반갑다. 하지만 시민
들은 그동안 유치위원회는 무슨 일을 했
고 무엇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기 짝이 없
다. 지난 6월 1일'2011 대구 세계육상
선수권대회 유치위원회'가 공식 출범한
이래 시민들의 관심에 부응한 이렇다 할
활동 내용이 전달된 것이 거의 없는 탓이
다. 시민들은 기껏해야 길에서 어쩌다
마주치는 유치 희망 플래카드만 보고 있
을 뿐이다. 그 내용도 유치를 위해 힘을
모으자는 것들인데, 정작 시민들의 관심
을 끌어올리고 공감대를 확대해 나갈 만
한 일이라곤 거의 없었다.
유치 활동이란 게 워낙 외교적인 일이
고 서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일이
기에 한계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대구시
민의 무관심 속에 일을 추진해서야 대회
의 성공을 낙관할 수 없다. 지난 2003년
대구유니버시아드대회를 관변에선 성공
적이라고 자평하고 있으나 일반 시민 대
중에 매혹적인 자랑거리로 남아있지 않
다면 성공이라 말하기 어렵다. 동참하려
는 시민적 열기가 절대 필요하다.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지
는 내년 11월 결정된다. 국제육상연맹
(IAAF)은 내년 9월 유치 신청 도시에 대
한 실사를 마치고, 집행이사회를 열어
2011년 제13회 대회의 개최지를 확정한
다. 내년 11월 고지를 향해 총력 질주해
야 한다.
내년은 개의 해다. 우리 지방이 낳은
귀한 천연기념물 삽살개처럼 맹렬히 뛰
자. 삽살개를 마스코트로 해서 세계의
주목을 받는다면 그 또한 멋진 일이 될
것이다. 세계육상선수권대회는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빅 스포츠 축제
다. 이 대회를 유치해서, 되는 일이 없는
듯한 대구의 무기력한 기상을 통쾌하게
풀어내고 새로운 도시 개발의 계기로 삼
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시민들의 열
기를 월드컵 수준으로 끌어올릴 대구 지
도층의 강렬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사
실을 강조한다.
댓글 많은 뉴스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