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8세기 무렵의 신라왕실 제의(祭儀) 관련 추정시설이 발견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송의정)는 경주 황남동 123의 3번지 일대(계림과 첨성대 사이 구간)를 발굴조사한 결과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추정되는 신라시대 건축물 시설을 찾았다고 22일 밝혔다.
이 일대는 이미 1988-1989년에 조사가 실시돼 중앙 건물터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10여 칸에 이르는 긴 건물터가 확인된 곳이다. 이번 조사는 그동안 사유지로 남아있어 조사가 불가능하던 건물터 남단 부분을 경주시가 매입한 다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해당 지역 발굴을 의뢰함으로써 이뤄지게 됐다.
올해 조사 결과 예전에 발견된 건물지들이 더욱 큰 범위에 걸쳐 서로 연결되어있음이 확인됐다. 나아가 정면 2칸, 측면 2칸의 중층 누각(重層樓閣)으로 추정되는 적심 건물 2채가 마주 보며 들어서 있었음을 새로이 파악했다.
긴 건물지 사이에는 영벽(靈壁), 또는 중국의 조벽(照壁)과 유사한 '석열유구' 가 발견됐다. 깬돌을 이용해 열을 지어 축조한 이 석렬 남쪽을 따라서는 뚜껑 항아리(원저단경호· 圓低短頸壺) 5점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매납돼 있었다.
조사단은 이들 항아리를 땅의 동티를 막기 위한 주술의식과 관련한 지진구(地鎭具)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박지원 "김정은, 두번 불러도 안 보더라…우원식과 악수는 큰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