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축
문인수
어미와 새끼 염소 세 마리가 장날 나왔습니다.
따로 따로 팔려갈지도 모를 일이지요. 젖을 뗀 것 같은 어미는 말뚝에 묶여 있고
새까맣게 어린 새끼들은 아직 어미 반경 안에서만 놉니다.
2월, 상사화 잎싹만 한 뿔을 맞대며 톡, 탁,
골 때리며 풀리그로
끊임없는 티격태격입니다. 저러면 참, 나중 나중에라도 서로 잘 알아볼 수 있겠네요.
지금, 세밀하고도 야무진 각인 중에 있습니다.
뿔은 하나의 상징이다. 생각해보라. 염소에게서 뿔을 빼면 뭐가 남을까. 어디 염소뿐이랴. 소도, 양도, 기린도 뿔을 지닌다. 초식동물에게 뿔은 어떤 의미일까. 어릴 적 비쩍 마른 친구들은 달리기를 잘했다. 뚱뚱한 친구들은 맷집이 좋았다. 이도저도 아닌 친구들은 그 어떤 모멸감에도 견딜 수 있는 인내심이 있었다. 그렇다. 모두 보호색이다. 어디에 쓰는 물건인 줄도 모른 채 어린 염소는 머리에 달린 뿔로 '톡, 탁, 골 때리며' '끊임없이 티격태격' 논다. 온 가족이 찢어져 팔려갈 지경인데도. 안타깝다. 안쓰럽다. 이런 여린 마음을 감추려고 시인은 말장난(言弄)을 한다. '골 때리며, 풀리그로' 노는 어린 염소들처럼. 그러면 한결 마음이 가벼워지겠지. 눈여겨볼 만한 건 시어들의 사용법. '각축'과 '각인'의 의미를 뒤집는 것은 기본이고, '새까맣게 어린' 녀석들은 털이 새까만 흑염소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어미 반경 안에서 논다'란 말의 의미도 겹이지만, 비유까지도 하필이면 꽃과 잎이 만날 수 없다는 '상사화 잎싹'이다. 햐, 말 다루는 솜씨 정말 기막히구나.
장옥관(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인터뷰] 주호영 국회부의장 "절박감·전투력 없는 국힘, 민주당에 못 당해"
장동혁 "계엄 유발한 정청래, 내란교사범·내란주범"
국힘 당권주자들, 후보 등록 후 '찬탄'도 '반탄'도 나란히 TK로
[매일희평] 책임지지 않는 무한 리더십
기업 옥죄는 '노란봉투법·상법·세제'…벼랑 끝에 내몰린 기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