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이 예산안 날치기 처리라는 대여 공세의 좌표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쪽으로 옮기는 분위기다. 그동안 각종 현안 처리에 있어 정권의 견제 역할을 해 왔던 박 전 대표를 '우군'처럼 대했던 기존의 태도와는 사뭇 다르다.
야권이 새로운 표적으로 삼은 것은 박 전 대표의 대선 행보의 일환으로 해석되는 복지 분야 공청회였다.
전병헌 정책위의장은 21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철학·비전·대안 없는 속 빈 강정, 빈 수레형 복지정책"이라며 "양극화와 저출산, 고령화 문제 등 구조적인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그 어떤 방안도 제시되지 못했다"고 비난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박 의원이 한국형 복지를 말하는데 박정희 대통령은 한국형 민주주의를 한다고 했으나 결국은 유신독재로 갔다"고 꼬집은 뒤 "왜 박 의원에 대한 비판 논평을 내지 않느냐"며 원내 대변인단을 질책하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민주노동당 우위영 대변인도 같은 날 "위장 복지로 대권 행보가 유지되기 힘들 것"이라고 했고, 진보신당은 "양극화, 노동 문제 등 알맹이가 빠졌다"는 비판 성명을 냈다.
박 전 대표에 대한 인신 공격성 비난도 나왔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우리가 왜 박근혜 의원을 '대표'라고 하느냐. 그냥 의원으로 불러라. 박 의원의 성역화를 우리가 인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야권이 예산안 처리에 대한 포격의 눈금자를 박 전 대표로 옮긴 이유는 우선 예산안 관련 장외 투쟁으로 몰려야 할 여론의 시선이 연평도 포격으로 인해 분산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야권으로선 새로운 공세 소재가 필요했고, 그로 인해 분산된 여론을 집중시키기 위한 시간도 벌 수 있게 된다.
특히 박 전 대표의 '복지 정책'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복지 이슈를 선점당할 수도 있다는 우려감 때문으로 해석된다. 그동안 복지 분야만큼은 민주당이 주도해왔기 때문이다. 앞서 세종시 수정 반대 과정에서 원안 고수에 찬성한 민주당이었지만 박 전 대표 때문에 충청권 민심을 사지 못한 전례가 있어 민주당으로서는 이를 되풀이하고 싶지 않은 상황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