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4급 직원이 일본 근무 중 기밀들을 누설하다 적발돼 해임된 사실이 최근 알려졌다. 국정원 조사 결과 이 직원은 2009년 10월 일본 해상보안청 조사관에게 황장엽 씨의 일본 방문 사실을 미리 알렸다. 2010년 7월에는 일본의 일간지 기자에게 김현희 씨의 방일과 관련해 일본 공안위원장이 일본인 납북자의 생존 정보를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 기밀들은 이후 북한 정찰총국 공작원이나 북한 간첩에게 넘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또 최근 군부대에서 '나는 꼼수다' 등 정부를 비판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삭제하라고 지시하자 이에 불만을 품은 한 부사관이 지시 내용을 담은 공문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해 언론에 유출한 일도 있었다. 정부 비판과 관련된 스마트폰 앱 삭제 결정은 개인의 의사 표현 침해라는 논란을 빚고 있지만 이와 별도로 군 내부의 공문이 외부에 알려진 사실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국정원과 군의 기밀이나 정보가 새는 것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국정원의 기밀과 정보는 얻는 것 못지않게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중요 기밀이 적대 세력에 흘러들어 갈 경우 역이용되는 등 큰 타격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 첩보사에는 실수나 배반 등으로 기밀이 상대방에 넘어가 피해를 본 경우가 허다하다. 직원들의 자질을 철저히 검증하고 보안 의식을 높이는 등 대책이 강화되어야 한다.
스마트폰 등을 통한 군 정보의 누출 문제도 마찬가지다. 현재 군은 스마트폰과 휴대전화 등록, SNS 보안지침 등을 정해놓고 있지만 허술하기 그지없고 보안 사고가 일어날 때 적발하기도 쉽지 않다. 군 보안용 스마트폰 앱 개발 등 좀 더 효율적인 대책이 절실하다.
댓글 많은 뉴스
김상욱, '소년 이재명 성범죄 가담' 주장 모스탄에 "추방해야"…이진숙 자진사퇴도 요구
"전작권 전환, 초기 비용만 35조원"…국힘 '정부 국방정책 점검 토론회'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