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에서 뼈의 갯수는 몇 개일까. 206개의 뼈가 우리 몸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정답이다. 이 가운데에 단 하나의 뼈라도 이상이 발생하면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 제각각 영역에서 제대로 지켜줄 때 고통 없이 일상의 삶을 살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우리는 가끔 몸이 우주라는 말을 듣게 된다. 우주는 각각의 별들이 제 영역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제 나름의 활동과 역할을 함으로써 존재가치를 발휘하고 있다는 뜻이다. 우리 몸도 뼈처럼 항상 그 자리에서 움직임의 맡은 역할을 충실하게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자신이 알든 모르든 상관하지 않고 수행하고 있다. 사회질서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필자는 뼈를 관찰하고 치료하면서 발가락의 작은 뼈 한 마디라도 이상이 생기면 모든 삶의 생활패턴이 일시에 정지되거나 깁스나 혹은 수술을 한 상태에서 불편한 일상을 꾸려가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불편함이 발생했을 때는 이미 뒤늦을 때가 왕왕 발생한다. 극소수이지만 몸의 일부를 없애거나 또는 그 기능을 못하게 하는 지경에 처했을 땐 참담하기 그지없다. 부패 정도가 인지할 수 없을 정도로 진행됐기 때문에 빚어진 결과이다.
사회기능도 마찬가지다. 정상적이라고 비쳐졌던 다양한 집단군들이 썩어가고 있는데도 버려두는 바람에 최악의 수술상황을 맞이하게 된다는 점이다. 결국 부상을 당하고 골절을 당할 수 있는 도로나 문턱의 높이만을 지적할 것이 아니라 내 몸이 이 같은 환경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신발을 조이거나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건강한 골격을 유지하는 노력도 매우 중요한 덕목일 수 있다. 먼저 자신의 골격조직을 점검하고 건강 여부를 진단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돼야만 한다는 교훈을 던져준다.
정당한 목소리나 외침은 누구든 귀를 열고 경청한다. 가정에서 가장이 모범된 생활습관을 지니고 아이들을 훈계할 땐 아이들이 크게 거부감을 가지지 않고 가장의 질타를 마음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가장이 평소 생활습관이 가족들에게 모범적이지 못하고 행패수준이였다면 오랜만에 훈계랍시고 가족이 모인 자리에서 일갈을 한다고 설득력이 있을 리 만무하다.
환자를 진료하거나 수술하고 병원장실에 잠시 쉴 틈을 가지게 될 때 갑작스레 적막감이 감돌 때가 생기곤 한다. 소리 한 점 없는 막힌 공간인 까닭이기도 하지만 오히려 이 순간 나의 진여를 만나는 경험을 간혹 갖게 된다. 종교에서 수행자들이 겪는 느낌이 이런 것이 아닐까. 개별적인 몸의 우주(환자)를 하루 수차례 열고(수술) 나면 갑자기 필자는 우주의 탁월한 수색대원이 된 듯한 착각에 빠지곤 한다. 제 영역을 참되게 지키면서 벗어나지 않는 우주의 원리를 필자의 작은 방에서 오늘도 열심히 열어갈 준비를 하고 있다
우병철 365정형외과병원 병원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