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올해 1월 산업생산 증가율이 전국 17개 시'도 중 1위를 기록했다.
통계청 등이 최근 발표한 1월 산업생산 증가율을 보면 대구의 산업생산은 전년 같은 달 대비 4.1% 증가해 전국 17개 시'도 평균인 -3.8%를 크게 웃돌았다. 대구는 1월 산업생산 증가율이 오른 것으로 나타난 충북, 경기, 강원, 광주를 포함한 5개 도시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대구의 산업생산 증가율은 작년 1분기 때 역성장을 기록한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그래프 참조)
지난해 대구의 산업생산은 전국 시도 중 5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작년 4분기에는 전자부품업의 주도 아래 전 주력업종이 성장세를 보이며 두 자릿수 증가율(10.1%)을 기록해 연중 호조세를 이어갔다.
시는 올해도 기계장비, 자동차, 금속가공 등 주력업종의 전망을 밝게 보고 있다. 특히 1월 생산증가는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구 산업생산이 작년에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업종별로 올해 1월 대구는 기계장비 증가율이 26.7%로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다. 자동차(1.8%), 금속가공(3.1%), 전자부품(1.7%) 등 다른 주요 업종들도 상승했다.
반면 다른 시도는 기계장비(-0.6%), 자동차(-3.3%), 금속가공(-2.9%), 전자부품(-2.8%)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부진했다.
특히 대구는 올해 완성차 업체들의 내수'수출 동시 증가와 국내외 경기 회복에 따른 기계장비 수요 확대로 주력업종인 자동차부품, 기계장비 업종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경제계는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최근 발표된 대구 중소기업건강도전망지수(SBHI)와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전월과 대비해 상승하는 등 대구의 중소제조기업들이 비교적 낙관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어 이러한 생산 호조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