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군 등 경북지역 3개 군이 전국 시'군'구별 개별공시지가 상승률 1, 2, 4위를 기록했다. 대구경북지역의 개별공시지가도 이들 지역 및 혁신도시 개발사업 영향 등으로 4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29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4년 1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울릉군의 공시지가는 33.14% 급등해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또 예천군과 청도군은 각각 21.05%, 16.44%를 기록 2, 4위를 기록했다. 울릉군은 일주도로 개설사업과 해양연구센터 건립 등이 진행되고 있고 예천군은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조성이란 호재가 작용했다. 청도군 역시 남천∼청도 간, 금천∼자인 간 도로확장포장공사 및 청도일반산업단지가 개발이 지가 상승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같은 기간 대구는 평균 4.10%, 경북은 평균 7.74%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상승폭인 대구 3.63%'경북 4.79%와 비교해 각각 0.47%포인트(p), 2.95%p 높은 수치다. 전국 평균은 4.07%로 전년도 3.41%보다 다소 상승했다.
전국 17개 시'도별로 살펴보면 정부청사 이전 등에 따른 각종 개발사업 및 인구유입과 도시성장 등에 따른 토지수요 증가로 세종시가 가장 높은 16.87%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다음으로 울산(10.39%)'경남(7.79%) 순이었다. 울릉도 국제관광섬 개발계획 및 독도 접안시설확충'경북도청 이전 등이 진행되고 있는 경북이 7.74%로 뒤를 이었다. 인천과 광주가 1.87%로 가장 낮았다.
대구는 대구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 및 국가산업단지 대구사이언스파크, 대구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입주,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개발 사업 등이 지가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한편 대구지역에서 땅값이 가장 비싼 곳은 중구 동성로2가 법무사회관 건물 부지로 ㎡당 2천300만원이다. 지난해 2천220만원에서 80만원 더 올랐다. 가장 싼 곳은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 산 135-2번지로 225원으로 조사됐다. 경북에서는 포항시 북구 죽도동 개풍약국이 1천210만원으로 가장 비싼 반면 울진군 기성면 방율리 752번지가 103원으로 가장 낮았다.
댓글 많은 뉴스
조국·정경심 이어…'위안부 횡령' 윤미향도 특사 대상 포함
'전대 소란' 논란에... "전한길, 모든 전당대회 출입 금지"
"배신자" "음모론자" 두 쪽 나버린 국민의힘 대구경북 합동연설회
'시진핑·中대사 얼굴' 현수막 찢었다가…尹 지지단체 입건
국힘, '전당대회 방해' 전한길 징계 절차 개시…"조속히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