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구 밀레니엄프로젝트가 승인하는 미래예측전문가가 국내에서 두 번째로 탄생했다. 주인공은 김천시 아포읍 세계기후변화종합상황실 기후변화'미래예측 연구소장으로 근무하는 서형석(57) 씨다.
그는 지난달 말 '미래예측과 통일한국'이란 연구과제를 발표해 미래예측전문가 자격을 받았다. 이날 이영구(서울) 씨도 '그래핀의 미래'란 연구과제를 발표해 서 씨와 함께 국내 2호 미래예측전문가 자격을 나란히 받았다.
서 소장은 대구사이버대 미래예측전문가 과정을 수료했으며 유엔미래포럼의 오프라인 교육과정 등을 4여 년간 공부한 끝에 미래학자에 이름을 올렸다.
LG그룹에서 30여 년간 근무하다 지난해 말 퇴직한 그는 LG 근무 당시 탄소배출 관련 업무를 하면서 기후변화 예측 등 미래학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회사 생활 때에도 탄소배출 저감 연구 등 미래예측과 무관하지 않은 일을 했었죠. 외국의 저명한 미래학자들이 국내에서 강연할 때 빠짐없이 경청하다 보니 매력을 느껴 본격적으로 공부를 하게 됐구요."
그는 "미래예측은 국가, 환경, 기업, 인간사회 등 모든 방면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는 점에서 미래가 밝은 학문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 소장은 "우리나라에선 미래학이 아직 불모지이지만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60년대부터 미국의 미래학자들로부터 경제 정책 및 전략을 자문받았다"면서 "초'중'고'대학생, CEO 등을 대상으로 하는 강연 활동의 폭을 더욱 넓혀 미래학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널리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대체에너지 등 우리나라의 미래예측과 기업의 성공 및 실패 사례 등을 담은 책도 발간할 계획이다.
한편 밀레니엄 프로젝트는 UN 및 산하 각 연구기관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미래갈등 및 해결 방안을 연구하는 싱크탱크로 현재 세계 50여 개 국가, 1천500여 명의 미래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다. 지구촌의 물과 에너지, 환경오염, 빈부격차, 생존전략, 민주주의 발전 등 다양한 과제에 대한 전략과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