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태풍 '산바' 피해 주민들을 위해 마련된 보조금과 성금이 제대로 된 성과도 없는 곳에 물 쓰듯 사용된 것(본지 8월 22일 자 10면, 26일 자 4면 보도)으로 드러났다.
2012년 9월 태풍 산바 피해 주민들을 대표해 '산바홍수피해 성주읍주민대책위원회'와 '성주읍 침수상가주택 대책위원회' '성주지역발전협의회' 등 임의단체가 결성됐다.
이에 따라 성주군은 태풍 피해를 입은 성주읍내 상가 및 주민들을 위해 '성주농자재협동조합' 설립을 조건으로 성주지역발전협의회에 보조금 4억원을 지원했다.
성주농자재협동조합은 지난해 8월 초부터 10월 말까지 채 3개월도 운영 못 하고 문을 닫았다. 그렇지만 성주군 보조금 4억원 중 2억7천500여만원을 써버렸다. 지출 내역은 인건비 4천661만원, 사무실 운영비 4천251만원, 농자재 구입비 9천754만원, 건물 등 공사비 7천945만원, 부지 임대료 900만원 등이다.
인건비는 전무 1명 월 400만원, 직원 3명 월 120만~160만원 등 4명이 3개월간 꼬박꼬박 월급을 챙겨간 것이다. 게다가 제대로 운영되지도 않은 사무실 운영비로 4천200여만원이 쓰였다. 아울러 농자재(비닐하우스 농자재, 1t 트럭 등) 9천754만원어치를 구입했지만 사업 중단으로 사용도 못 한 채 올해 공매를 통해 재판매, 농자재 판매대금 3천400만원만 회수했을 뿐 6천354만원은 날려버린 셈이다.
성주군청 공무원직장협의회는 직원들이 모은 성금 3천500만원과 성주군 재경향우회 모금액 1천500만원을 성주지역발전협의회에 전달했다. 성주지역발전협의회는 지난해 8월에야 임시총회를 열어 성금을 가구당 25만원씩 나눠주기로 했지만, 아직까지 피해 주민들에게 돌아간 것은 단 한 푼도 없다. 임의단체 일부 임원이 자신의 자녀 통장으로 성금을 빼돌렸으며, 개인적으로 벌통을 구입하는 데 사용했다는 등의 의혹마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성주지역발전협의회는 태풍 피해 보상 소송을 한다면서 주민 200여 명으로부터 가구당 5만~10만원씩 총 2천200여만원 소송비용을 별도로 받았다. 그러나 소송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소송비용을 낸 주민들에게 다시 돌아가야 하지만 이 돈은 사라진 상태다.
태풍 피해를 입었던 이모(성주읍) 씨는 "당시 수재의연금을 준다는 말은 들었지만, 실제로 한 푼도 받지 못했다. 오히려 성주지역발전협의회에 소송비용으로 10만원을 줬다"며 "임의단체 임원들이 처음부터 불투명하게 보조금 및 성금 관리를 해 이런 사태를 초래했다"고 했다.
산바홍수피해 성주읍주민대책위원회 A(55) 임원은 "임의단체 구성부터 잘못됐고, 일부 임원들도 문제가 많았다. 철저한 수사로 성금 사용처를 밝혀내야 한다"고 했다.
이 같은 의혹 제기에 대해 성주지역발전협의회 해당 임원은 "협의회 운영 및 지역민들을 위해 성금을 사용했다. 유용한 것은 일절 없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