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23일 중국 출장을 이유로 국정감사에 출석하지 않은 김성주 대한적십자사 총재에 대해 동행명령장을 발부하기로 합의했다. 김 총재는 지난 21일 보건복지위 기관 증인 출석에 이어 어제 대한적십자사 국정감사가 예정되어 있음에도 21일 출국한 뒤 중국에 머무르고 있다.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국제적십자연맹 아태지역 회의에 참석해야 한다는 것을 이유로 내세웠지만 국감을 회피하기 위한 '도피성' 출장이란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김 총재의 어이없는 언행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보건복지위원장의 잇따른 출석 요구에 김 총재는 문자 메시지로 "23일 국감은 출석할 수 없으며 27일 오후에 국감을 받겠다"고 했다. 국회와 충분한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출국을 강행한 데 이어 피감기관이 국감 날짜를 지정한 것이다. 여야 의원들의 성토(聲討)가 아니라도 국회에 대한 모욕이라는 비판을 들어도 할 말이 없는 부적절한 처신이다.
김 총재가 왜 이런 욕을 들으면서까지 국감을 회피하려는지는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김 총재는 2012년 대선 때 박근혜 대통령의 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았다. 박 대통령이 그를 적십자사 총재로 임명했을 때 보은인사라는 비판과 함께 자격을 놓고 말이 많았다. 게다가 총재로 임명된 뒤 5년 동안 적십자 회비를 한 푼도 내지 않은 것이 드러났다. 김 총재는 국감에서 이런 문제들을 놓고 의원들의 추궁과 질타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을 것이다. 김 총재로서는 피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피한다고 문제가 덮어지는 것은 아니다. 김 총재의 일방적인 출국은 국회에 대한 무시일 뿐만 아니라 자신을 적십자사 총재로 임명한 박 대통령을 곤혹스럽게 한다는 점에서 '배은'(背恩)이 될 수 있다. 보은 인사가 아니라면 당당하게 출석해 의원들에게 적십자사 총재로서 자격이 있음을 설명하면 된다. 5년간 적십자회비를 내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직접 설명하고 사과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은 김 총재 스스로 자격이 없음을 고백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렇게 국감이 두려우면 아예 적십자사 총재를 맡지 말았어야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