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상처 뻔한 결선 투표, 서울선 野에만 좋은 일"…새누리 내부 공천룰 갈등 거듭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등이 10일 여의도 63빌딩에서 김대중평화센터 주최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15주년 기념식에서 사회자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등이 10일 여의도 63빌딩에서 김대중평화센터 주최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15주년 기념식에서 사회자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의 내년 총선 공천룰 작업이 가시밭길이다.

지난 6일 밤 비공개 긴급 최고위원회의 만찬 합의를 통해 결선투표제 도입 등 큰 윤곽은 잡았으나 세부 규칙 논의 전에 적용 방식을 둔 이견이 속출하고 있다.

친박-비박 등 계파 간 이해득실에다 수도권, 지방 등의 지역적 상황이 엇갈려 험로를 걷고 있다.

9일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선 지도부와 중진 간 설전이 벌어졌고, 한쪽에선 합의 자체를 인정할 수 없다는 의견까지 제기됐다.

당 지도부의 공감대와는 달리 의원들 사이에선 결선투표 자체에 대한 거부감 등이 제기되면서 의원총회를 열어 의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뒤 도입에 대한 추인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에도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최고위가 지난 7일 결선투표 도입 방침을 세웠지만, 이는 의총에서 최종 추인을 받아야 확정된다는 것. 절차적 논란과 별개로 결선투표 도입 여부, 실시 기준 등에 대해선 의원들 사이에서 온도 차도 감지된다.

친박계는 대체로 결선투표를 도입해야 하고, 이 제도의 취지를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친박계 윤상현 의원은 "(1'2위 후보자 지지율이) 오차범위 내일 때 (다시 투표를) 하는 건 '순위투표'"라며 "방점은 순위투표가 아니라 결선투표라는 것이다. 3, 4명 후보자로 압축해 (지지율이) 과반을 얻지 못한 경우 1'2등을 붙여 경쟁력 있는 후보자를 뽑는 게 상식적인 결선투표"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비박계에선 결선투표 실시를 가급적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서울시당위원장인 김용태 의원은 "우리 텃밭(영남 지역)은 우리끼리 (결선투표로) 싸워도 야당에 빼앗기는 경우가 안 생기지만, 수도권은 투표를 두 차례 하면서 우리끼리 상처를 받으면 야당에 질 확률이 높아진다"며 "결선투표는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무성 대표는 9일 기자들과 만나 결선투표제 실시요건에 대해 결정된 바가 없다면서 "기조나 원칙은 최고위에서 합의 볼 수 있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특별기구에서 논의해야 되고, 특별기구도 의총 등을 통해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