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안보 강조' 행보가 부쩍 잦아졌다. 추미애 대표는 3일 전방 부대를 방문해 "안보 없는 평화도 있을 수 없고, 평화 없이는 민생도 경제도 작동되지 않는다"며 안보를 강조했다. 문재인 전 대표도 북한 김정은의 신년사에 대한 2일 성명에서 "(북한이) 올해 우리 정국의 변화기를 틈타 과거처럼 불순한 의도로 허튼짓을 하려 한다면 우리 국민이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말 대로라면 민주당은 '확실한 안보 정당'이다.
하지만 실제 행보는 정반대다. 송영길 의원 등 민주당 의원 8명이 중국 정부와 공산당 고위 관계자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4일부터 6일까지 중국을 방문하는 것이 그 증거다. 이들이 내세우는 방문 목적은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민간 차원 보복 문제의 해결이다. 그러나 중국 고위 관계자들과의 논의가 그런 것에 국한하지는 않을 것임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문 전 대표가 제기한 '사드 배치 연기'와 관련해 중국과 민주당 간의 '의미 있는 소통'이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사드 배치에 대한 민주당의 행적은 이런 추측을 잘 뒷받침한다. 지난해 사드 배치 결정 후 민주당은 일관되게 반대해왔다. 당시 민주당 초선 의원 8명은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뜻을 물어보겠다며 굴욕적인 중국 방문을 강행했다. 그러나 사드가 안 된다면 무엇으로 1천여기에 달하는 북한의 미사일을 막을 것인지는 제시하지 않았다. 무책임하고 무능한 '반대를 위한 반대'였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에는 사드 배치를 다음 정부로 넘기라고 했다. 그 뜻이 단순한 '배치 연기'가 아니라는 것은 국민 누구나 안다.
누구나 추 대표나 문 전 대표처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안보는 말만으로 지킬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말을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수단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가 기댈 수 있는 현실적인 수단 중 하나가 사드다. 이젠 다시 얘기하기도 지겹다. 사드도 안 된다면 대안은 무엇인가? 결국 민주당의 '안보 행보'는 민주당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잠재우기 위한 제스처에 불과하다. 이런 식으로 국민을 계속 속일 수 있다고 생각하면 참으로 오산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