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주 지진 원인·단층 유무 정밀 조사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원안위 올해부터 내진 기준 재평가

경주와 포항 등 동남권지역의 지진 안전대책이 잇따라 마련된다. 양산단층대 활성화 논란 속에 원전 6기가 가동 중인 경주를 비롯해 주변 지역의 안전을 보다 꼼꼼히 챙기기 위해서다.

올해부터 5년간 경주 지진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정밀 지질조사가 실시되고, 포항에는 중앙이 아닌 지역 단위로 지진을 조기 경보하는 시스템이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치된다.

원자력 규제기구인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동남권지역 정밀 지질조사 실시 등이 포함된 올해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원안위는 올해부터 5년간 경주 지진의 원인과 단층 유무 파악을 위해 정밀 지질조사에 들어간다. 지난해 9월 지진관측 사상 최대 규모(5.8)의 지진이 경주에서 발생한 것을 계기로 원전 내진 성능을 보강하고, 내진설계 기준을 재평가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올해 지질조사에 예산 10억원이 투입된다. 월성'고리'한빛'한울 등 원전지역사무소 4곳에 지진'방재 전문인력을 확충하고 현장 안전 규제 지원활동을 확대키로 했다.

아울러 오는 6월 가동이 정지되는 고리원전 1호기의 해체에 필요한 규제 지침이 연내 완비되며, '사용 후 핵연료' 규제를 위한 로드맵도 나온다.

포항시는 경주 지진 이후 560여 차례의 여진이 계속되는 등 주민 불안이 계속됨에 따라 지진 경보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올해 '동남권 지진'단층 융합연구센터' 건립의 기초가 되는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연구(30억원)와 국토대단층계 위험요소 평가기술 개발(15억원) 신규 국비도 확보했다.

센터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포항분원 내에 설치될 계획이다. 아울러 현재 경보 발령에만 50초가 걸리는 지진 조기경보 체계를 2020년까지 10초 이내로 줄이는 시스템을 개발'도입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