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박근혜 대통령이 주도해 만든 당명을 버리고 새 모습을 갖추기 위한 대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박근혜라는 '1호 당원'이 사라진 새누리당의 앞날에 대해 당 내부에서조차 걱정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뚜렷한 대선후보가 없어 향후 당의 존속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고, 당직자 구조조정 등 향후 악재가 줄을 이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는 중이다.
새누리당은 당명 개정을 위해 23일부터 국민공모에 들어가 25일 마감, 다음 달 초 새 당명과 로고를 발표한다. 당 내외 전문가 의견을 두루 수렴해 새로운 보수 가치에 적절한 당명을 검토한 뒤 다음 달 초에 내놓겠다는 것. 새누리당의 당명 개정은 지난 2012년 2월 한나라당에서 새누리당으로 바뀐 이래 5년 만이다.
현재까지는 지지율이 눈에 띄는 후보가 없지만 일단 당명 개정과 함께 설 연휴 이후엔 본격적인 대선 모드로 전환한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은 최순실 국정 농단 게이트의 후폭풍 속에서 벼랑 끝 위기에 내몰린 당을 추스르고 새로운 모습으로 변신하는 데 신경 쓰느라 대선 준비는 거의 못 했던 게 사실이다.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이 주도해온 인적 쇄신이 일단락된 데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본격적인 대권 행보에 나서면서 "더는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만큼 새누리당은 대선 모드 전환을 위한 행보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정우택 원내대표 역시 24일 "다음 달 들어서는 당명 개정을 비롯해 여러 가지 면에서 대선 모드로 바뀔 가능성이 커졌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이 당의 정상화를 위해 발걸음을 빨리 하고 있지만 우려가 완전히 걷히지 않았다는 것이 당 안팎의 평가다. 바른정당 등으로의 외부 이탈 가능성이 여전히 잠재하고 있는 데다 이대로 가면 당의 살림도 쪼그라들 수밖에 없다.
새누리당 한 당직자는 "이미 10명 안팎의 당직자가 바른정당으로 떠났고 지금 있는 당직자들도 일부 동요하고 있다"며 "현역 의원들이 빠져나가는 등 당의 규모가 자꾸만 왜소해지다 보니 당사를 축소하고, 당직자 임금에도 손을 댈 것이라는 소문이 번지고 있다"고 털어놨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