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계 지원 배제 명단, '블랙리스트' 의혹을 수사해온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박근혜 대통령이 구속된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과 범행을 공모했다고 결론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박 대통령이 김 전 실장, 조 전 장관 등과 함께 반헌법적인 문화계 지원 배제 명단을 작성'집행하고 이에 저항하는 공무원들을 부당하게 쫓아냈다는 데 깊숙이 관여했다는 것이다.
31일 김종덕 전 문화부 장관, 신동철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 등에 대한 공소사실에 따르면 특검팀은 박 대통령을 블랙리스트 집행과 공무원 '찍어내기'의 공모자(공범)로 규정했다.
특검팀은 박 대통령이 2013년 9월 30일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김 전 실장과 수석비서관들에게 "국정 지표가 문화 융성인데 좌편향 문화예술계에 문제가 많다"며 "특히 롯데와 CJ 등 투자자가 협조를 하지 않아 문제다"라는 취지로 발언한 사실을 파악했다.
이를 통해 특검팀은 청와대가 조직적으로 블랙리스트 마련에 나선 사실을 청와대 관계자들로부터 확인했다.
이후 김 전 실장 주도로 2014년 5월까지 3천여 개의 '문제 단체'와 8천여 명의 '좌편향 인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청와대 주도로 우선 구축된 것으로 특검팀은 파악했다.
당시 박준우 청와대 정무수석과 신동철 정무비서관은 DB 구축을 마치고 나서 김 전 실장과 박 대통령에게 '문제 단체 조치 내역 및 관리 방안'이라는 제목의 서면 보고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블랙리스트 운용에 소극적이던 문화부 1급 공무원 '동반 퇴진' 사건에서도 '공모자'로 지목됐다.
특검팀은 2014년 7월 리스트 운용에 소극적이던 유진룡 당시 문화부 장관이 면직되고 나서 '성분 불량자'로 분류된 최규학 기조실장 등 3명의 1급 공무원들의 사표를 받는 과정에서 박 대통령이 관여한 것으로 파악했다. 박 대통령이 김 전 실장, 김종덕 당시 문화부 장관 등과 순차적 공모 관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