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은행의 정기예금 가운데 만기가 1년 이상인 상품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586조9천766억원으로 2015년 말보다 3.1%(17조4천224억원) 늘었다.
정기예금을 기간별로 보면 만기가 1년 미만인 상품은 잔액이 180조4천374억원으로 1년 사이 4.1%(7조7천651억원) 줄었다.
반면 만기가 1년 이상인 정기예금은 406조5천392억원으로 6.6%(25조1천876억원) 늘었다.
특히 만기가 '1년 이상∼2년 미만'인 상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2015년에는 39조9천476억원이나 줄었지만, 작년에는 무려 26조4천118억원 늘었다.
반면 다른 정기예금은 줄어들거나 소폭으로 증가했다.
'2년 이상∼3년 미만'은 잔액이 1년 사이 1조8천425억원 줄었고, '6개월 미만'은 10조2천964억원 급감했다.
이 같은 현상은 기준금리 1.25%의 초저금리 시대를 맞아 금융상품의 수익성이 떨어졌지만 이자를 조금이라도 더 받으려는 자산가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통계를 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1.47%에 불과했다. 앞으로 저금리 기조가 한동안 이어질 공산이 큰 만큼 여유자금을 그냥 은행에 묶어두고 있는 것이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가 오랫동안 이어지면서 가계나 기업이 낮은 이자라도 받는 게 낫다고 판단해 예치 기간을 늘린 것 같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