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로 경상북도 신청사 개청식을 가진 지 꼭 1년을 맞았다. 280만 도민의 숙원이었던 신도시 조성과 청사 이전은 지역균형발전의 새로운 토대라는 의미와 함께 경상북도의 정체성 확립 차원에서 현재까지는 성공적인 사업이다. 게다가 도청이 옮겨오면서 경북을 축으로 한 허리 경제권이 윤곽을 드러내고 교통'문화'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다. 신도시의 역할과 발전에 기대가 모아지는 이유다.
돌이켜보면 지난해 청사 이전 직후 신도시와 주변 지역에서 갖가지 민원과 불편 사항이 불거지는 등 논란이 없지 않았다. 이는 아직 채 완비하지 못한 생활기반시설, 낮은 접근성과 정주성에 기인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어떤 신도시든 낯선 환경에서 예외 없이 겪는 성장통이라고 봐야 한다. 다행히 시간이 경과하면서 문제점들이 조금씩 해소돼 불만의 목소리가 잦아든 것은 새 터전에서의 생활에 빠르게 적응해나간 결과라 할 수 있다.
표면적인 수치이기는 하나 신도시 지역을 포함해 이웃한 안동'예천'문경'상주 등지로 이사한 도청 공무원 수가 어느 정도인지 따져보면 신도시의 정착 단계를 알 수 있다. 2월 현재 전체 91%의 직원이 신도시 지역으로 거주지를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신도시 인구가 4.3배 늘었다. 특히 타 시도 전입자가 40%에 이르고 유입 인구의 73%가 젊은 층이라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다.
다만 아직까지 단독 이주가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는 점에서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았다. 불과 1년 만에 모든 공무원 가족이 신도시로 터전을 옮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문제다.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교육, 의료, 문화, 환경 등 정주 여건이 완벽하게 갖춰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인내심을 갖고 빠른 시일 내 신도시가 인구 10만의 자족도시로 성장하는 데 힘을 모은다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신도시를 포함해 북부권 중심도시들이 긴밀히 연계하고 도시 특성과 자립 기반 등 경쟁력을 착실히 다져나가야 한다. 신도시 지역이 경북의 중심이자 허리 경제권의 핵심으로 성장하고 제 면모를 확실히 드러내는 것은 신도시 지역 주민뿐 아니라 전체 도민에게 주어진 과제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