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의 미래, 올해 1분기 성적에 달렸다

올해 1분기가 경북도 발전 속도를 판가름할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대형 국책사업 유치를 두고 정부와 경북도의 줄다리기가 한 달 간격으로 이어질 예정인데, 이 성적표가 도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3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중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을 지역별로 1곳씩 선정, 발표할 예정이다. 도는 동해안 철도 복선전철화(포항~동해), 동해안 고속도로(포항~삼척) 사업을 건의했다.

어떤 사업이 선정되느냐에 따라 3조원의 운명이 갈린다. 동해안 철도 복선전철화 4조원, 동해안 고속도로 7조원 규모로 사업비 격차가 커 정부 선택이 미칠 파급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도는 동해안 고속도로에 우선순위를 뒀지만, 정부 반응은 뜨뜻미지근하다. 전국에서 접수된 사업들 중 사업비 1등에 손꼽힐 정도로 규모가 큰 탓이다. 정부가 지역 간 형평성을 이유로 비교적 사업비가 적은 동해안 철도 복선전철화 사업을 선정할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도는 그대로 정부의 결정을 지켜볼지, 동해안 고속도로 사업 중 영일만대교가 포함된 일부 구간만 건설하는 것으로 수정 건의할지, 아니면 동해안 철도 복선전철화 사업에 힘을 실을지를 두고 다시 고심 중이다.

2월에도 중요한 정부 판단이 있다.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반도체 클러스터' 입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곳에는 SK하이닉스가 10년간 120조원을 투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구미 국가5산업단지에 이를 유치해 지역 경제를 되살린다는 계획이다. 1단계 부지 기반시설 공정률이 97%에 달하는 5공단은 조성 비용 절감 효과 면에서 경쟁 지자체를 압도한다는 분석이다.

3월은 탈원전 정책에 따른 정부 후속 조치의 분수령이다. 정부가 3월에 원전해체연구소 입지 발표를 예고하고 있다. 정부는 공모로 원해연 입지를 선정할 예정이었으나 지역 간 갈등을 우려, 최적지 낙점 방식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알려지고 있다.

도는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등 원전 인프라가 밀집한 경주를 최적지로 보고 있다. 원해연 입지가 원자력안전연구센터·방사선융합기술원 등 원전 관련 국책사업의 입지와도 맞물려 있어 원해연 유치로 후속 기관 유치의 포문을 연다는 각오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