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오는 7일부터 26일까지 20일간 열린다. 여야 정치권은 서해 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군 총격에 숨진 사건과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의 군 복무 특혜 의혹 관련 위증 논란, 코로나19 대응 문제 등 추석 밥상머리 민심에 올랐던 정국 쟁점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4일 정치권에서 이구동성으로 '가장 뜨거운 상임위'로 꼽는 곳은 '공무원 피격 사건' 담당인 외교통일위원회와 국방위원회이다. 이 사건과 관련해 보수야당인 국민의힘은 6일 대정부 긴급현안질문을 열자고 요구하고 있지만,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국정감사에서 논의할 수 있는 사안이라며 거부하고 있는 만큼 국정감사에서 핵심 쟁점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우선 야권에서는 북한군의 사살 명령 등 당시 상황을 국군이 실시간 감청했다는 주장이 나온 만큼 군 경계 실패를 질타하는 한편 대북 굴종외교 논란을 밀어붙일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를 소관기관으로 둔 운영위원회에서는 사건 당시 문재인 대통령의 행적을 묻는 야당의 총공세도 예상된다. 반면 민주당은 남북 공동조사 등 실질적인 진상 규명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조국 국감'으로 뜨거웠던 법제사법위원회도 12일 예정된 법무부 국감 때 불꽃이 튈 것으로 예상된다. 검찰이 추미애 장관 아들 관련 의혹에 불기소 판단을 한 것에 대해 보수 야당은 부실 수사 가능성을 제기하는 반면 민주당은 검찰 판단으로 의혹이 해소됐다고 맞서고 있는 탓이다. 여기에 야당은 추 장관이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보좌관에게 지시한 적이 없다"고 답변한 것과 달리 보좌관에게 지원장교 전화번호를 전달한 사실이 드러나 "거짓 답변을 했다"고 공세를 펼치고 있어 추 장관의 대응도 주목된다.
정부의 코로나19 대응도 이번 국감의 핵심 쟁점 가운데 하나인데 정부가 4차에 걸친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던 만큼 기획재정위원회에서는 국가 부채 비율 등 재정 건전성을 둘러싼 논란이, 보건복지위원회에서는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과 독감 백신 상온 노출 사고 등에 대한 질의가 잇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국토교통위원회에는 임대차 3법 개정 등 정부의 부동산 시장 안정화 대책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정무위원회에서는 라임자산운용에 이어 옵티머스 펀드 등 사모펀드 문제가 잇따라 불거지면서 증권사의 불완전 판매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는 윤영찬 민주당 의원의 '카카오 문자'로 촉발된 포털사이트 외압 논란 공방이 전개될 것으로 관측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