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5차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이 2천34만 가구로 확정됐다. 1인 가구 107만 가구, 맞벌이 가구 71만 가구가 추가되면서 지급 대상이 전체 가구의 80%에서 88%로 늘었다. 지원금 지급 범위가 정해졌지만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5차 재난지원금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월 "코로나에서 벗어날 상황이 되면 온 국민이 힘을 내자는 차원에서 국민 위로지원금 지급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지 5개월 만에 결정됐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이란 이름까지 붙었다. 그러나 코로나에서 벗어날 상황은 요원한 데다 지급 범위를 둘러싸고 불만과 이의 제기가 쏟아지는 등 애초 목표했던 국민 위로지원금 취지와는 거리가 멀어졌다.
정부는 '소득 하위 70%'를 검토했지만 '전 국민 지급'을 주장하는 더불어민주당과의 협의 과정에서 80%→84%→100%→90%로 우왕좌왕하다가 88%로 정해졌다. 곳곳에서 불만이 터질 때마다 지급 기준이 춤을 추면서 누더기 지원금이 됐다. 납득할 만한 원칙이나 기준 없이 결정한 탓에 형평성 논란이 여전하다. 지원금을 못 받게 된 국민 12%는 "우린 왜 배제됐느냐"며 불만이다. 소득이 엇비슷한 두 가정이 지원금 100만 원(4인 가족 기준)을 받는 곳과 못 받는 곳으로 갈리면서 소득 역전이 생길 수도 있다. 연봉이 지원금 지급 기준(1인 가구 5천만 원)을 넘는 3040세대 1인 가구의 불만도 크다. 소득은 높지만 재산은 적은 '흙수저' 가구는 못 받고 재산은 많은데 소득은 적은 '금수저 가구'는 지원금을 받는 경우도 배제하기 어렵다.
선별 지급도 보편 지급도 아닌 이런 어정쩡한 지원금을 주겠다고 5개월이나 난리를 쳤는가 묻지 않을 수 없다. 무원칙하고 갈팡질팡한 지원금 지급은 국민을 분열시킬 뿐이다. 코로나로 피해를 봤거나 생활이 어려워진 계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지원금이 결정되는 게 맞았다. 선심성 돈 뿌리기로 가다 보니 88대 12로 국민을 갈라치는 결과를 초래했다. 정치적 셈법에 좌지우지된 재난지원금이 사회적 논란과 국민 분열만 부르고 말았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