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카뱅)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첫날 상한가를 기록하며 단숨에 '금융 대장주'로 등극했다.
6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카뱅은 시초가 5만3천700원 대비 가격제한폭(29.98%)까지 오른 6만9천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관심이 쏠렸던 '따상'(상장 당일 공모가 2배 시초가에 상한가를 기록하는 것)은 이뤄지지 못했다. 시초가는 공모가 3만9천원보다 37.69% 높은 수준이며, 종가는 공모가를 78.97% 웃돌았다.
개장 직후 차익 실현이 이뤄지며 한동안 하락하다가 곧 상승 전환한 뒤 장 막판에 상한가로 치솟았다. 장 종료 후 상한가 매수 잔량도 92만주 이상 쌓였다.
그럼에도 기존의 금융주들을 모두 제치고 '금융 대장주', 시총 11위로 증시에 입성했다.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코스피 종목(우선주 제외) 중 11위인 33조1천620억원이다. 기존 금융주 1위인 KB금융의 시총(21조7천52억원)을 12조원가량 웃돈다.
시총 10위 기아(34조6천991억원)를 불과 1조5천억원 차이로 추격했다. 국내 핵심 업종 대기업인 포스코(29조7천307억원)와 삼성물산(27조52억원), 현대모비스(26조2천103원), LG전자(25조6천927억원) 등도 줄줄이 제쳤다.
카뱅을 비롯, 올해 상당수 공모주들이 홍역처럼 앓은 '공모가 거품' 논란도 잠재웠다.
상반기 상장한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SK바이오사이언스 등은 상장 첫날 외국인이 차익 실현 매물을 쏟아내면서 주가 하락을 맛봤다. 반면 카뱅은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천254억원, 982억원을 순매수하며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 이날 개인은 3천23억원 순매도했다.
장 초반 카뱅 거래가 몰리면서 한국투자증권 등 일부 증권사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에서는 1시간 이상 접속이 지연돼 투자자 불만이 쏟아지기도 했다.
상장일 주가가 급등하면서 카뱅 임직원들이 얻는 평가차익도 불어났다.
카뱅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회사가 윤호영 대표 등 임직원 140여 명에게 부여한 스톡옵션 중 지금까지 행사되지 않은 수량은 총 267만2천800주다. 1주당 행사 가격이 5천원인 만큼 이날 종가 기준 1주당 평가차익은 6만4천800원, 임직원 스톡옵션 평가차익 총액은 1천661억원에 이른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