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신한국당 이홍구(李洪九)대표실에는 대구에서 민원성전화가 자주 걸려왔다. 이대표를 만나려고 하는 계명대 신일희(申一熙)총장 측의 전화다.
다른 한 쪽 당사자인 교수협의회 측은 지난 8일 이미 상경해서 김대중(金大中)국민회의총재를 면담한 바 있다. 김총재는 그 자리서 교육위에서 양 쪽 당사자를 증인으로 채택하도록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이처럼 계명대사태의 양쪽 당사자들이 정치권에 원군(援軍)이 돼주기를바라며 SOS를 친 것은 이미 오래전의 일이다. 특히 국정감사를 앞두고는 양측이 지역출신 의원들은 물론 국회 교육위소속 여야의원들에게 지원을 요청했다.먼저 교협측은 약자인 자신들을 도와 달라며 정치권이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회에서 당사자들을 증인으로 불러 진상을 파악해 달라는 주문을 한다. 반면 신총장등 재단측은 사태를 국회까지 비화시켜서는 안된다는 입장에서 증인채택이 되지 않도록 각종 로비활동을 벌였다.
증인채택을 둘러싼 여야정당들의 입장 또한 가지가지다. 우선 신한국당은 반대다. 신한국당 교육위간사인 서한샘의원은 구조적이고 고질적인 사학의 문제를정치권까지 비화시켜 봤자 해결이 되는 것이 아니므로 자율적 해결을 유도해야한다 는 입장이다. 국민회의의 증인채택 요구는 정치적 의도를 깔고 있다 고의심하고 있다.
자민련도 반대입장이다. 당초 자민련은 증인채택 쪽이었지만 김종필(金鍾泌)총재의 부인인 박영옥씨가 계명학원의 자매학교인 신명여고동창회장을 맡고있다는 점에서 반대쪽으로 선회했다. 재단측의 요청이 받아 들여진 것이다. 대신 교육위소속인 안택수(安澤秀)의원은 당초 증인채택 입장에서 변경, 증인채택한다고 해서 해결책이 나오는 것도 아니므로 교육부가 사학분규조정위원회법 마련등을 통해 해결책을 제시해야한다 는 자세다.
반면 국민회의는 진상파악을 위해서라도 증인채택을 해보자는 입장이다. 어느편이 아니라 이야기를 들어보면 해결책이 나오지 않겠느냐는 것이 설훈(薛勳)교육위간사의 설명이다. 설의원은 증인채택이 곧바로 총장더러 물러나라는 주장은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빠른 정상화를 위해서는 양 당사자가 서로 손을잡아야 한다는 점은 강조했다.
지난달 30일에 이어 계명대사태는 오는 16일과 17일 교육부에 대한 감사를 벌이는 과정에서 증인채택 여부와 함께 다시 거론될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