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해외관광-터키 이즈미르

"오늘은 지중해에서 '성모마리아의 집'을 본다" 지난 5월 아시아나 항공의 이스탄불 취항을 계기로 이즈미르를 중심으로 하는 터키의 에게해(海)연안 지역을 찾는 한국 관광객의 발길이 잦아지고 있다.

이 지방은 터키에서 가장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지역으로 지중해의 푸른바다를 배경으로 올리브밭과 험준한 바위절벽으로 둘러싸인 들쭉날쭉한 해안이 끝없이 이어져 있고, 강렬한 지중해의 태양볕을 받으며 무화과, 버찌, 복숭아, 자두, 수박같은 향기로운 과일이 지천으로 익어가는 곳.잔잔한 하늘색 바다 건너 그리스의 아테네와 마주보고 있어 신화와 전설이 풍부하고, 유사이래수많은 종족과 문명이 스쳐간 탓에 지층마다 다양한 문화유적과 유물을 간직하고 있다. 특히 이즈미르를 중심으로 한 반경 1백km의 반원형 지역은 국내 가톨릭과 기독교인들의 성지 순례지로각광받고 있다.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으로 겨우내 비가 내리고, 여름내내 구름한점 없는 맑은 날씨를보인다.

국민의 90%% 이상이 회교도인 터키에 속해 있고, 한가로운 농촌마을 어귀에는 어김없이 모스크가 서있지만 과거엔 초기 기독교회 사도들이 이스라엘의 국경을 넘어 복음을 전파한 최초의 선교지였으며, 기독교를 그리스, 로마로 전파한 중간기착지 역할을 한 곳. 말하자면 이스라엘에서 발흥된 기독교가 보편종교로서 싹을 키운 요람이었다.

그래서 이 곳에는 사도 바오로와 베드로의 발자취가 서려 있고, 성모마리아가 만년을 보내고 승천한 것으로 알려진 집, 사도 요한 및 루가의 무덤으로 알려진 곳, 요한 묵시록에 나오는 아시아의 7대교회 의 유적들이 발굴, 보존되고 있다.

예언자와 모세의 발자취가 서린 이집트를 구약(舊約)시대의 성지, 이스라엘을 신구약 공존시대의성지라고 한다면 초기기독교회의 사도들의 발자취가 어린 이곳과 그리스, 로마는 신약(新約)시대의 성지다.

최대의 도시는 이즈미르. 성서에 나오는 이름으로는 스미르나 이며 이스탄불과 수도 앙카라에다음가는 터키 제3의 도시이며, 제2의 무역항이다.

이곳은 5천여년전부터 인간이 정착해 살던 곳으로 고대 그리스의 식민도시로 발전을 거듭하다가기원전 627년 리디아의 공격으로 멸망했다. 그후 기원전 3세기경에 새롭게 건설돼 트로이와 함께서부 소아시아지역의 선진도시로 성장했다. 기원전 1500년경에는 소아시아 중부지역에서 강성했던 히타이트 제국에 점령당했고, 기원전 1세기 경에는 이오니아동맹의 일원으로 전성기를 누린다.일리아드와 오디세이 를 쓴 시인 호머가 스미르나의 거리를 누빈 것도 이무렵이었다.이즈미르는 그후 기원 6백년경 리디아왕국의 침략으로 몰락, 페르샤 점령기까지 작은 지방도시로남아 있다가 로마시대와 비잔틴 시대에 다시 한 번 전성기를 맞게되지만, 11세기 셀죽 터키에 이어 1415년에는 오스만 터키에 차례로 점령된다.

에게해 연안에서 빠트릴 수 없는 곳은 고대 에페소 유적지. 현재는 셀죽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곳에는 고대의 7대 불가사의(不可思議) 의 하나로 불리던 아르테미스 신전이 대리석 기둥만 남아 햇볕에 바래져 가고 있고, 성모 마리아가 살다가 죽었다는 성모 마리아의 집 과 사도요한의 무덤위에 세웠다는 요한성당 이 있다.

에페소는 로마시대에 사도 요한이 거주하며 복음서를 쓴 장소로서 기독교사상 중요한 유적지. 3세기 중엽에는 고트인에 의해, 기독교 사회가 된 후에는 기독교인들에 의해 신전등이 무차별 파괴됐고, 15세기 이후부터는 잊혀져 있다가 19세기 후반에야 유적이 발굴되면서 다시 햇빛을 보게됐다.

〈呂七會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