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이 9일 수정키로 합의한 올해 거시경제 지표는 앞으로 국민 고통이 더욱 커지게 된다는 것을 예고하고 있다.
정부와 IMF가 합의한 거시지표 전망치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난해 12월3일 IMF자금지원이행 합의문에서 명시한 3%%에서 1~2%%로 낮아졌으며 물가상승률은 5%% 이내에서9%% 이내로 높아졌다.
경제 성장률의 하락은 곧 실업증가로 이어진다. 정부는 당초 올 성장률이 3%%라는 가정하에3.9%%의 실업률(실업자 85만명)을 예상했다.
따라서 성장률이 1%% 포인트 낮아질 경우 실업률은 0.4%% 포인트 가량 높아지는 점을 감안하면 실업률은 4.3~4.7%% 수준에 달해 작년말현재 50여만명 수준인 실업자수도 94만~1백3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올해 실업률은 적게 잡아도 5%%를 상회, 실업자수도 1백10만명을 훨씬 초과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또 정부와 IMF가 올해 물가상승률을 약 9%%로 설정했으나 환율불안이 가중되고 물가상승 심리까지 이에 가세할 경우 두자리 숫자의 상승률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고 있다.저성장 고물가의 전형적인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이 전개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보다 더 우려되는 부분은 정부와 IMF가 수정.제시한 이번 거시지표가 경제운용수단을 통해 반드시 지키겠다는 목표치가 아닌 단순 전망치라는 점이다.
즉, 성장률이 더 낮아질 수도 있고 물가가 더욱 상승할 수도 있다는 불투명성을 반영한 것으로,정부와 IMF가 오는 2월 거시경제 전망을 다시 논의하기로 한데서도 이를 엿볼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