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심이 주차장화하고 있다.이는 △ 2년전 유료주차장의 완전 자율화(건설교통부) △ 1차순환선내 각 시설 부설주차대수를 법정주차대수의 75∼100%까지 제한하면서 도심 주차장사업이 활발해진 데다 최근 극심한 불황으로 투자비가 적게 드는 주차장 건립이 러시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도시공학 전문가들은 이같은 유료주차장 급증 현상이 최근 대형빌딩 건축붐과 함께 도심 차량 유입을 부채질하고, 도시환경을 기형화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근 중구 계산2가 고려예식장이 주차 130대 규모의 대형 유료주차장으로 바뀌었으며 중구 동인1가 한 3층 건물이 헐리고 주차 92대 규모의 주차장으로 변했다.고려주차장 관계자는 "예식업이 자유업으로 바뀌면서 수익이 떨어진 데다 새 건물을 짓자니 건축비용이 많아 투자비가 적은 주차장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대구 중구청이 최근 대구역~공평네거리 사이 교동지역의 주차장 교통환경을 조사한 결과 유료주차장이 40곳 800면에 달했고, 대구백화점을 중심으로 한 동성로에도 유료주차장이 50곳이 넘었다.
이처럼 도심 유료주차장 건립이 잇따르면서 현재 중구지역 유료주차장(공용제외)은 1년전 224곳보다 21곳이 늘어난 245곳으로 불었으며, 주차면적은 17만1천170㎡에서 18만6천892㎡로 크게 늘었다. 주차면수도 지난 99년 5천335면에서 올해 5천874면으로 증가했다.
특히 최근 생겨난 유료주차장은 대다수가 주차면수 20면 이하의 소규모인 데다 동성로와 교동을 중심으로 한 도심에 집중, 차없는 거리를 표방한 '동성지구 교통개선계획'에도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시공학 전문가들은 "도심이 대형빌딩과 주차장만 계속 들어서 기형적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면서 "도심환경측면에서 빌딩, 공원, 가로 등이 균형있게 조화를 이루는 도시계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중구청 관계자는 "대구 도심을 차량통행금지구역 등 특별지구로 지정해 차량유입을 막아야 '차없는 거리'가 가능하지만 인근 상인들의 반발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지난 98년 도심차량유입 억제책으로 '주차상한제'를 도입, 1차순환선내 숙박, 운동, 관람·집회, 판매·위락 시설의 부설주차대수를 법정주차대수의 75~100%로 제한하고 있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