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9개 공공도서관에는 각자 다른 특성이 있다. 이걸 알면 이용에 훨씬 유용하다. 가장 크게 차별화된 것은 전문자료실. 섬유에 대해 알고 싶으면 중앙도서관을, 족보에 대해서는 두류도서관을, 세계 곳곳의 지도를 보려면 남부도서관을 찾는게 좋다.
또다른 측면에서의 특성화도 이뤄져 있다. 그것에 따라 해당 서적이나 자료를 세심하게 모아 놓았다. 중앙도서관에는 육아정보, 대봉도서관에는 건강정보, 효목도서관에는 취업·레저 정보가 특화돼 있다.
교양강좌에도 차이가 있다. 거의 무료. 잘 살피면 사설 유료 강좌 보다 더 알차게 배울 수 있다.
영화는 달성도서관을 제외한 8개 도서관에서 모두 상영한다. 프로그램은 도서관 안내문이나 도서관별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공도서관 정보는 www.tglnet.or.kr로 찾아 들어가면 된다.
김재경기자
도서관휴관일전문자료실영 화 상 영 전 화
중앙2·4주 월섬유·고문헌·북방월화금 오후3시420-2700
동부1·3주 목향토 자료월화목금 오후2시603-6100
서부2·4주 수향토문인 자료화수목 오후2시560-8800
남부2·4주 목지도 전문자료월수금 오후3, 토 오후7시620-5500
북부1·3주 화학위논문월~금 오후2시350-0800
두류1·3주 월족보 자료일~금 오후3시, 토 오전10시650-0200
효목2·4주 화점자 자료월수금 오후2시740-5505
대봉1·3주 수행정정보 자료월~금430-7777
달성2·4주 월영농관계 자료611-4966
댓글 많은 뉴스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 이진숙 21.2% VS 김부겸 15.6%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