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그거 알아? 봄이 오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당신의 계절병말야".남편의 뜬금없는 지적에 화들짝 정신을 차려본다. 아마 초점풀린 눈으로 생각에 잠긴 내 모습이 퍽이나 멍해 보였겠지.
집안일과 아이들 틈새에서 허덕이기를 몇 년, 아이들이 크고 나서 시작한 직장생활에 허덕이기를 또 몇 년…. 문득 나는 무엇을 위해 사는지, 누구를 위해 사는지 혼란에 빠지기도 한다. "그래, 다 이 봄 탓이야". 스스로 위안을 찾아보지만 마음 속 어디엔가 숨어있는 허전함이 오늘따라 더 커진 것 같다. 잃어버린 내 이름에 대한 미련때문인가.
"실례지만 이름이 어떻게 되세요?" 꽤 황당한 질문이었다. 당연히 내 이름 석자 정도는 알고있을만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맞아, 그러고보니 나도 13년간이나 내 이름을 잊고 있었지…. 내가 '상아 엄마'임을 깨닫는데는 오래 걸리지도 않았다.그러고 보니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나를 '상아 엄마'로 불렀다. 나역시 당연히 그게 내 이름인 줄 알고 있고…. '여종숙'. 오랜만에 만난 옛친구의 이름 같다. 낯설기조차 하다. 내일부터 '여보', '당신' 대신 '종숙씨'라 불러달라면 남편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신나는 일이 될 것 같다. '상아 엄마'에서 '여종숙'으로 돌아오는 날, 마흔을 바라보는 거울 속의 아줌마가 아가씨로 다시 태어날 것만 같다. 자신감을 되찾고 나를 위한 시간도 짜낼 수 있겠지. "또 봄이 왔나?". 남편의 농담도 야속하게만 생각지 않고 흘려버릴 수 있을 것 같다.
올봄엔 내가 좀 심각한(?) 계절병을 앓고 있음을 남편은 아직 눈치채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그나마 남편이 남들처럼'상아 엄마'라 부르지 않고 '여보'라고 부르는 걸 다행이라 해야 할까?
(39·대구시 북구 칠곡동)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