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0대 주채무계열에 현대자동차, 포항제철, 대우건설, 두루넷 등 15개 계열이 새로 선정돼 재무구조개선약정 체결 대상이 됐다.
반면 법정관리를 신청한 동아, 해태, 우방과 단일법인만 남아있는 (주)대우, 에스오일 등 15개 계열은 주채무계열에서 제외됐다.
금융감독원은 작년말 현재 종금, 보험을 포함한 금융권의 신용공여(대출금, 지급보증, 기업어음, 매입외환, 사모사채 포함) 잔액을 기준으로 상위 60개 계열을 올해 주채무계열로 선정, 14일 발표했다.
신규 선정된 15개 계열은 현대자동차(5위), 포항제철(16위), 대우건설(24위), 대우인터내셔널(36위), 대우통신(37위), 오리온전기(38위), 현대산업개발(40위), 두루넷(41위), 하나로통신(44위), 대한해운(46위), 대우기계(47위), 대우조선(51위), 현대백화점(52위), 일진(58위), 고려제강(60위)이다.
이들 15개 계열은 앞으로 주채권은행과 차입금상환계획을 포함한 부채비율 감축계획과 계열전체의 구조조정, 지배구조 개선계획 등을 담은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신규로 체결해야만 한다. 또 종합상사·건설·해운·항공운송 4개 업종을 제외한 나머지회사의 부채비율을 200% 이하로 감축해야 한다.
선정이 제외된 15개 계열은 법정관리를 신청한 동아, 우방, 해태 등 3개 계열과 단일법인만 남아있는 (주)대우, 에스오일 등 2개사, 신용공여 규모가 적은 아남, 대우자동차판매, 신원, 세풍, 화성산업, 일동제약, 대한펄프, 농심, 조양상선, 동방 등 10개 계열이다.
신용공여 기준으로 현대가 15조2천798억원으로 전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고, 삼성(9조9천718억원)은 2위에서 3위로 물러난 반면 LG(11조5천333억원)는 4위에서 2위로, SK(9조8천321억원)는 5위에서 4위로 순위 변동이 있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