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5일 이틀간 경북 동해안 해수욕장·계곡 등에는 50만명, 부산지역 해수욕장에는 이틀간 300만명의 피서객이 몰려 올 여름 피서의 절정을 이뤘다.
또 포항지역에서는 5일 하루 해수욕객만 8만명에 이르자 7번 국도 등이 극심한 몸살을 앓았다. 5일 오후엔 강구∼포항 사이 교통이 평소의 3배인 3시간 넘게 걸렸다. 5일의 체증은 오후 2시부터 시작돼 밤 11시가 넘어서야 풀렸다.
문무왕 수중릉 일대 봉길해수욕장에도 5일 오후 한때 3만여명이 몰려 40∼50분 걸리던 울산∼감포∼포항 사이 운행에 5시간이나 소요됐다. 30분이면 가던 경주∼감포, 경주∼포항 사이 운행시간이 1∼3시간 걸렸다. 경부고속도 역시 집으로 돌아가는 차량들로 밤늦게 까지 정체돼 경주∼서울 사이에 10시간 이상이나 됐다.
피서객들의 물놀이사고도 잇따라 5일 오후 1시55분 쯤엔 포항 장기면 신창리 해안에서 갯바위에 떨어진 벼락의 전류가 바닷물 속으로 흘러 멱 감던 곽동열(10·울산 도평초교 3년)군 등 2명이 중상을 입었다.
낮 12시쯤엔 부산의 해수욕장들에 갑자기 천둥·번개를 동반한 폭우가 쏟아져 해수욕객들이 혼란을 겪고 각종 행사가 취소되는 소동이 벌어졌다. 4일 오후 7시쯤엔 성주 포천계곡에도 30분 동안 40㎜의 폭우가 쏟아져 야영 중이던 유모(40)씨 가족 등 29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됐다.
사회2부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지지율 57%…긍정·부정 평가 이유 1위 모두 '외교'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삼국통일 후 최대 국제이벤트 '경주 APEC' 성공(종합)
경찰, '공직선거법 위반' 김문수 전 대선후보 검찰 송치
시진핑에 '최고급 바둑판' 선물한 李…11년전 '바둑알' 선물에 의미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