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미국과의 진실한 대화가 될 수만 있다면 북한 핵문
제 해결을 위한 다국간 협의의 형식에는 구애받지 않겠다는 입장이라고 아사히(朝日
)신문이 19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4일 평양을 방문했던 다이빙궈(戴秉國) 중국 외교부 수석부
부장과 만난 자리에서 "우선 북미간에 정말로 진지한 대화가 가능할 수 있을 지가
중요하다"면서 "그것이 된다면 3자협의든 5자협의든 우리는 대화의 형식에는 구애받
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이같은 언급은 북미간 진지한 대화가 보장된다면, 다자간 협의에
일본이 참여하는 것도 용인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고 아사히는 지적했다.
또 김 위원장은 "미국과 일본이 우리 나라에 대해 적대정책을 포기하고, 대화가
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는 것이다. 이는 북한의 대량살
상무기(WMD) 관련물자 수출을 봉쇄하기 위해 국제연대를 추진하고 있는 미일의 자세
에 강한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에 대해 다이빙궈 부부장은 "국제사회는 벼랑끝 정책을 인정하지 않는다. 핵
보유라는 행위는 통용되지 않는다"며 북한의 핵개발 포기를 촉구했다고 아사히는 전
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우리가 핵에 집착하는 이유는 우리 나라의 안전보장이 위
협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 미국측의 안전보장없이 핵을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삼 강조했다. (외신종합)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